[스프] '계약금 10% 내라'…금메달리스트도 피해자

  • 📰 SBS8news
  • ⏱ Reading Time:
  • 51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4%
  • Publisher: 63%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계약금 10% 내라'…금메달리스트도 피해자 SBS뉴스

한국체육대학교 체조 전공 학생 중 학교를 졸업하고 실업팀에 입단하는 선수 대부분은 '계약금'이란 것을 받습니다. 각자의 능력, 입단하는 팀 사정에 따라 계약금 액수에는 차이가 있지만, 모두 어린 선수들이 눈물과 땀을 쏟으며 노력해온 것을 처음으로 인정받는 상징적인 돈입니다.

국내 유일의 체육특성화 국립대인 한체대 체조부가 20대 초반 학생들이 실업팀에 입단하면서 받는 계약금의 10%를 사실상 강제로 가져가고 있다는 내용을 취재 결과 확인했습니다. 피해자는 한둘이 아니었습니다. 저희 취재진이 확인한 수수 기간만 해도 최근까지 최소 10년에 달합니다. 납부 대상자엔 국가대표와 국제 대회 금메달리스트도 포함됐고, 심지어 경제적인 형편이 어려운 선수에게서 수십만 원을 받아간 사례도 있었습니다.한체대 체조 종목 입학생은 매해 7명 정도입니다. 지난 10년 사이 많게는 한 해 3천만 원 이상 걷기도 해 수수 기간을 감안하면, 총액은 최소 억대 이상으로 추정됩니다. 왜 받아갔는지 체조부 측에 묻자"학생들의 자발적인 기금 문화"라며"비인기 종목의 취약한 재정 지원 탓에 40년 전부터 시작된 기부 관행"이라는 내용의 공식 입장을 내놨습니다.

해명이 사실일까, 끝까지판다팀이 입금 과정을 따져봤더니 '독촉 전화'까지 있었고, '학교발전기금 공식 계좌'가 있는데도, 조교 명의 또는 재학생 명의 계좌를 통해 돈을 받은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학교 측의 '자발적 납부'다, '오랜 전통'이라는 말은 무색해졌고, 개인 계좌로 받았다는 점에서 사용처에 대한 의혹만 커졌습니다. 선수들은 이런 부적절한 송금의 배후에 대한체조협회 임원으로 한국 체조계에 영향력이 큰 한체대 체조부 A 교수가 있다고 의심했습니다. 계약금을 걷어간 조교는 4년마다 한 번씩 바뀌지만 A 교수는 그렇지 않다는 겁니다.취재진을 만난 A 교수는 졸업생들이 자발적으로 낸 돈이며 일종의 '기부'라고 말했습니다. 학교가 어려울 때 기부를 받아 학생 지원에 사용했다는 겁니다. 하지만, 선수들은 기부 행위로 인정받지도 못했다고 반박했습니다."연말 정산을 위해 기부 내역을 떼어 달라"고 학교 측에 요청했지만 돌아온 대답은"안 된다"는 말이었단 겁니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