젖소는 늘 우유가 나오는 줄 알았는데, 아니었다니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28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5%
  • Publisher: 51%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서평] 이하루 을 읽고 동물의 삶을 상상하다

언젠가 차를 타고 가다 우연히 돼지를 빼곡히 태운 운송 트럭을 마주한 적이 있다. 먼지인지 검불인지 모를 지저분한 무언가가 몸 여기저기에 묻은 채 아무렇게나 함부로 흔들리는 돼지들을 보며, 안타깝다고, 저기서 얼마나 무서울까 생각했던 적이 있다.정육점이나 마트에 가면 언제나 살 수 있는 깔끔하게 포장된 고기를 사와 맛있게 먹었고, 푸른 초원 위에서 유유자적 풀을 뜯고 있는 젖소 그림이 그려진 우유를 산 뒤 고소한 우유를 마셨다. 이 맛있는 '음식'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내 입으로 들어오게 됐는지를 깊이 생각해본 적이, 내 경우엔 거의 없었다.굳이 알고 싶지 않고 피하고 싶어서 외면해왔던 실상들을, 한 책에서 마주하게 됐다. 이하루 작가의 이란 책이었다. 박정미 작가의 이란 책에 뒤이어 읽은 책이었다.

이 같은 공장식 축산에 의한 실상을 눈앞에서 생생히 목격한 저자는 '왜 음식을 가공하는 공장에서 입맛을 당기는 게 아니라 정반대로 속을 게워내고 싶은 냄새가 풍겨 나오며, 나는 어떻게 그걸 여태껏 맡아볼 필요도, 기회도 없이 살아올 수 있었던 걸까.' 의문을 드러낸다. 날로 늘어가는 육류 소비 때문에 엄청난 양의 피와 분뇨, 축산 폐기물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도 일어나고 있음을 전했다. 이런 사실을 알게 되자 설사 소, 돼지, 닭 등을 하나의 생명이 아닌 '음식'으로만 생각했을 때, 그러니까 철저히 인간중심적인 시선에서 바라봤을 때에도 공장식 축산에 의해 생산된 음식들이 과연 우리 몸에 이로운 것일까란 의문을 갖지 않을 도리가 없었다. 또 상품을 보다 맛있게 꾸미며, 육식을 유도하는 수많은 광고를 떠올리게도 했다.임신을 해야 우유를 생산할 수 있는 젖소우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뭘까. 적어도 나에겐 푸른 초원 위에서 풀을 뜯는 소의 모습이다. 또는 멜빵바지를 입은 목장 주인이 젖소의 젖을 짜는 모습. 그런 평화로운 이미지였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6.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헌혈 일시 중단” 내걸린 헌혈의집…의사파업에 ‘목숨 같은 피’ 내버릴 판늘 부족해 애태웠던 혈액 최근 수술중단에 수요 ‘뚝’ 제때 사용 못하면 처분해야 수급조절 위해 헌혈도 제한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부동산 불패 신화, 아직 믿고 계시나요?[부자될 결심] 집은 은퇴자산이 되어 줄 수 있을까?
출처: hankookilbo - 🏆 9. / 59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민의힘 공천, ‘김건희 여사가 현역 다 살려줬다’는 얘기 나오는 이유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내세운 ‘시스템 공천’ 원칙이 ‘현역 불패’로 귀결되고 있다...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 정부 그린벨트 해제에 ‘총선맞춤’ 우려 나오는 이유들“논의 과정 배제한 총선용 정책…인구 감소·저성장 국면 경제 효과도 미미”
출처: newsvop - 🏆 6. / 6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사 보려고 줄 서는 성당... 경비도 삼엄하네[부부 둘이 용감하게 배낭여행] FC 바르셀로나의 라리가 우승 현장을 직관하다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AI가 쓴 기사와 전문 데스킹 기사, 직접 비교해보세요오픈AI의 GPT-4와 AI 빅데이터 분석 전문기업의 '검색 증강 생성'(RAG) 기술이 적용된 'AI 기자'가 쓴 기사가, 기자 경력 20년의 한국일보 부장급 에디터 2명의 데스킹을 거친 뒤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독자 여러분과 공유합니다. 데스킹이란 기사가 출고되기 전 오류를 바로잡고 품질을 높이는 작업을 뜻합니다. 언론사에서 기자가 쓰는 기사는 통상 늘
출처: hankookilbo - 🏆 9. / 59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