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저격자의 마지막 비밀을 알고 싶다 [본헌터㊾]

  • 📰 hanitweet
  • ⏱ Reading Time:
  • 72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2%
  • Publisher: 53%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역사 논픽션 : 본헌터㊾] 미제의 유해들오전 10시 사형집행되어 오후 1시 묻히기까지 최적의 조건은

*편집자 주: ‘본헌터’는 70여년 전 국가와 개인 사이에 벌어진 집단살해사건의 수수께끼를 풀어가는 이야기다. 아무데나 버려져 묻힌 이들과, 이들의 행방을 추적하며 사라진 기억을 찾아나선 이들이 주인공이다. 매주 2회, 월요일과 수요일 인터넷 한겨레에 올린다. 극단 신세계가 글을 읽어준다.

본헌터란 무엇인가. 뼈에 눈을 번뜩이는 사냥꾼이다. 숨은 뼈를 찾아내는 사냥꾼이다. 그 뼈에 담긴 수수께끼를 푸는 사냥꾼이다. 이제 내 입을 빌려 말하는 처음이자 마지막 기회를 가져본다. 풀지 못한 매듭, 그리고 어떤 아쉬움에 관해서 말해보고자 한다.본헌터로서 나는 산에서, 섬에서, 평야에서 땅 속을 파헤쳐 뼈를 꺼내고, 닦고, 분석하다가 늙어버렸다. 전선의 맨 앞에서 적의 총알받이가 돼야 했던 국군 전사자, 전쟁기에 결코 있어서는 안될 광기에 의해 떼죽음을 당해야 했던 민간인 희생자, 일제강점기에 머나먼 타국에서 강제노동 끝에 죽음을 당한 징용자, 그리고 실미도·선감학원 등 인권침해 사건의 희생자들. 식민지와 전쟁, 분단시대 권위주의 정부로 이어진 대한민국의 특별한 역사가 아니었다면 나도 이 일을 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그 자취를 따라다니다 보니 세월이 갔다. 77에 가까워진 나이가 아찔하다.

2008년 3월25일부터 4월29일까지 2차에 걸친 발굴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당시 발굴현장에선 고층 아파트가 막 올라가던 참이었다. 중국 당국의 협조를 얻어 공사를 중단하게 했지만, 깎아놓은 산을 어쩔 수는 없었다. 이제는 현장에 고층 아파트가 완전히 들어섰고, 다시 발굴을 하기는 무망하다. 그럼에도 안 의사가 묻힌 매장지 위치를 최대한 과학적인 데이터를 동원해 확정적으로 도출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매장추정지에 대한 남북 공식 입장은 원보산이지만, 아직도 원보산 반대편인 둥산포에 안 의사가 묻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기에 그렇다.

2000년, 국군 전사자를 발굴하던 첫 해였다. 치열한 낙동강 전투가 벌어졌던 왜관의 한 발굴현장에서 철모와 그 안에 들어있는 머리뼈를 발굴했다. 광대뼈의 구조와 턱의 형태, 치아로 볼 때 백인이었다. 철모는 소련제였다. 혹시 스탈린이 보낸 구 소련 군사고문단의 일원은 아니었을까. 그들이 낙동강 방어선까지 내려왔다는 역사적 증거는 없었다. 철저한 감식을 통해 그 증거를 찾을 수도 있는 기회였다. 지금에서야 통탄하는 바다. 그때는 일단 증거만 남기려고 했는데 그마저도 여의치 않아 일찍이 화장을 해버렸다. 사진도 필름 카메라로 엉성하게 남길 때였다.

민간인 희생자 유해발굴에 관해서는 더 이상 시민참여 형태의 유해발굴단이 어려워졌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꼽힌다.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가 유해발굴의 주체로 서면서 발굴참여자에 관해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을 적용하고 있다. 조사기관은 이 법에 따라 규모·장비·인적 구성 등을 갖추어야 한다. 가령 발굴단의 중요직책은 문화재 관련 학과 출신이어야 가능하다. 내가 2023년 하반기부터 발굴작업 실무에 손을 뗀 이유이기도 하다. 나와 함께 10여년간 유해발굴 경험을 쌓아온 능력있는 친구들이 더 이상 발굴작업에 참여하기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박근혜 정부에서도 없었던 일, 윤석열 정부에서 일어났다[그 정보가 알고 싶다] '회의공개, 누구나 방청 원칙' 합의 깬 윤석열 정부... 알권리가 위험하다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그것이 알고 싶다 ‘R&D 예산 삭감 미스터리’2024년도 정부 연구·개발(R&D) 예산 삭감은 한 편의 미스터리다. 자원 없는 나라에서 기술력이 살길이라는 국민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정부 R&D 투자는 국가경제가 흔들릴 때조차 꾸준히 증가해왔다. 그러나 12월 종료되는 국회 예산심사에서 정부안이 통과된다면 1991년 이후 처음으로 국가 R&D 예산이 줄어든다(〈그림〉 참조).지난 정부에서 R&D 예산이 비교적 가파르게 늘어났으니 숨 고르기를 하는 수준이 아니다. 올해 31조1000억원인 국가 R&D 연구 예산은 2024년 25조9000억원으로 5조2000억원 삭감된다.
출처: sisain_editor - 🏆 13.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태원, 다들 할 말 있을 텐데... 연결점 못 찾은 것 같아요''이태원, 다들 할 말 있을 텐데... 연결점 못 찾은 것 같아요' 이태원 이태원참사 1029이태원참사 다시놀싶다이태원 용산FM 기자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진압군과 나란히... 양지바른 곳에 묻힌 그날의 반란군들[대전현충원에 묻힌 이야기 ①] 영화 과 마지막 장면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없던 길 만드는 EBS의 위대한 여정, 계속될 수 있을까경기 고양시 EBS 본사 로비에 들어서자 기둥마다 자리를 꿰찬 〈위대한 수업〉 시즌 3 홍보물이 눈에 띄었다. 조지프 스티글리츠,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시린 에바디, 폴 로머 등 노벨상 수상자들의 얼굴 옆으로 ‘세계 최고의 지성을 만나다’라는 글귀가 적혀 있다. “이 포스터를 다 붙였는데 갑자기 촬영을 못하겠다 하는 분이 나타난 거예요.” 〈위대한 수업〉을 시즌 1부터 맡아온 허성호 PD에겐 아찔한 순간 중 하나다.
출처: sisain_editor - 🏆 13.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작 차량 돌 맞아 파손... 그래도 시즌2 하고 싶다'[이영광의 '온에어' 292] MBC 연출한 김경희 PD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