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에 얽매인 정책의 벽을 깨자, 함께 살자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39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9%
  • Publisher: 51%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장애인권 활동가들은 왜 장애인이 시설에서 사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는지, 왜 정부는 장애인 지원정책을 시설정책으로만 일관하고 있는지 물음을 던졌다. 이들의 요구는 “동네에서 함께 살자”는 것이었다.

2017년 6월 장혜영씨는 장애인 거주시설에서 중증발달장애인 동생 혜정씨를 데리고 나왔다. 초등학생이던 혜정이가 산골에 있는 시설로 들어간 지 18년 만이었다. 이듬해 12월 동생과 함께 사는 일상을 담은 다큐멘터리 을 선보이며 ‘탈시설’이라는 화두를 던졌다. 장애인 인권활동가, 다큐멘터리 감독, ‘생각 많은 둘째언니’ 채널을 운영하는 유튜버 장씨는 최근 정의당에 입당하며 정치에 뛰어들었다. 장애가 있든 없든 누구나 지역사회에서 평범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다.

2009년 일명 ‘마로니에 8인’의 노숙투쟁은 상징적 사건이다. “더 이상 시설에서 살기 싫다.” 한 해 전 장애수당 갈취 등 비리가 있던 석암베데스다요양원에서 나온 장애인 8명이 서울 대학로 마로니에공원에서 두 달간 노숙농성을 벌였다. 이를 계기로 탈시설 장애인을 위한 자립생활주택이 생겼다. 서울을 시작으로 지자체 차원의 탈시설 정책이 수립됐다. 2017년 국가인권위원회가 실시한 중증·정신장애인 시설 생활인에 대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중증장애인 67%가 거주시설에 비자발적으로 입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44.4%가 ‘가족들이 나를 돌볼 수 있는 여력이 없어서’라고 그 이유를 답했다. 지난해 기준 장애인 거주시설은 624곳, 거주인원은 2만5000여 명이다.변화는 쉽지 않다. 시설보호 체계가 이미 탈시설을 추진한 서구와 많이 다르다. 서구의 경우 국가 주도로 시설보호가 시작됐고, 시설 개혁 역시 국가가 주도했다. 한국은 식민지와 전쟁을 겪으면서 서구의 시설보호제도가 들어왔고, 민간이 주도하는 형태로 발전했다.

탈시설은 거스를 수 없는 큰 물줄기가 됐다. 추진 방식을 둘러싼 이견이 있을 뿐이다. 장애인 인권단체들은 시설의 규모를 축소하는 ‘소규모화’를 경계한다. 운영 주체, 관리방식이 동일하다면 자기결정권을 침해하는 시설의 근본적 문제를 해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소규모화는 실효성 있는 탈시설 전략이 될 수 없다고 본다. 한국장애인사회복지시설협회는 시설장 원탁회의, 내부 연구 등을 통해 탈시설에 따른 대안을 찾고 있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단독]황운하 대전경찰청장 '나는 계속 검찰의 공격을 받을 것이다'황운하 대전지방경찰청장은 11월 중순 무렵 명예퇴직 의사와 함께 정계 진출의 뜻을 피력한 이후 또다시 논란의 중심에 섰다. 황비례? 황정치? 아닌걸 아니라고 소리내면 논란이고 찍소리도 않하면 모범이냐? 기레기는 소각로에~ 술에 장사 없다.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위헌 결정 받은 ‘인터넷 실명제’ 여론의 심판대 오르다[토요판] 뉴스분석 왜인터넷 실명제 논란설리의 비극, 인터넷 실명제 여론 확산2005년 선거법 첫 도입 ‘아직 유효’정보통신망법 관련 조항 2012년 폐지현재 선거운동 기간에만 실명제 부활익명 표현 자유 ‘대의민주주의’ 발전인터넷상 타인의 권리 침해도 심각해헌법, 표현 자유와 함께 한계도 명확‘권리 침해 시 배상 청구’ 헌법에 규정 기레기들 가짜뉴스 처벌법이 더 시급하다 기레기들 ‘실명’으로 ‘악성’ 기사 잘 쓰잖아... 염병하네
출처: hanitweet - 🏆 12.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