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건설사 사업장 150곳 수주만 하고 첫삽도 못떴다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42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0%
  • Publisher: 51%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매경, 건설사 주택사업 조사'사업성 평가 통과' 없는 회사도정부, 추석 이전 공급대책 발표

국내 10대 건설사인 A사는 수주 전 사업성 평가를 통해 올해 2개 사업장만 승인했다. 작년에는 28개였는데 1년 만에 '10분의 1' 이상 사업장 숫자가 줄어든 셈이다. 통상 건설사들은 사업 인허가를 받기 1년 전부터 그 사업을 수주해도 될지 내부적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거친다. A사 입장에서는 1년 후 수주를 추진할 사업장이 2개밖에 없는 셈이다. 이 회사는 올해도 9월 현재까지 단 2곳의 주택 사업만 수주했다.

최근 주택 인허가와 착공 물량이 급감하면서 정부가 주택 공급 상황을 '초기 비상 단계'로 규정했지만, 현장 상황은 그보다 훨씬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매일경제가 국내 10대 건설사의 주택 공급 계획을 확인한 결과 건설사 수주·인허가 단계 이전부터 주택 공급이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가 추석 전 발표할 주택 공급 대책이 '택지 공급-착공-분양'에 이르는 주택 공급 순환 단계별로 정교하게 만들어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10대 건설사 대다수는 올해 내부 사업성 평가를 통과한 사업장이 절반 이하로 뚝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재작년과 작년을 합쳐 85개 사업장에서 사업성 평가를 통과시킨 B건설사는 올해 들어 현재까지 단 11곳에서만 'OK 사인'을 냈다. 사업성 평가 결과 단 한 개의 사업장도 수주하지 않기로 했다는 건설사도 있었다. C사 관계자는"예년보다 수익성이 확보되는 사업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며"조합 등 발주처에서도 사업 추진 속도를 조절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수주를 하고 착공을 하지 못하는 주택 사업장도 10대 건설사의 경우 150곳이 훌쩍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D건설사의 경우 40여 곳, E건설사는 39곳의 사업장에서 수주를 해놓고도 착공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택 공급 절벽 위기가 심각해지자 국토교통부는 조만간 공급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건설사들은"착공 이후라도 시행사와 공사비를 조정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돼야 주택 공급에 나설 수 있을 것"이라고 호소하고 있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5.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