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통 사던 감기약, 3∼5통 구매'… '사재기' 막으려다 '가수요'만 부채질

  • 📰 hankookilbo
  • ⏱ Reading Time:
  • 20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1%
  • Publisher: 59%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의약계는 “사재기 조짐은 없다”고 손사래를 쳤습니다. 외려 정부의 섣부른 대책이 ‘가수요(지금 당장 필요가 없어도 일어나는 예상수요)’만 자극할지 모른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습니다.

2일 오후 서울 중구의 한 약국에 감기약 수급 안정을 위한 판매수량 제한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스12일 서울 종로5가 약국거리에서 만난 약사들은 대부분 고개를 갸우뚱했다. ‘중국인들이 감기약을 싹쓸이하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대한 반응이었다. 최근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 환자가 급증하자, 정부는 감기약 사재기 방지를 이유로 판매수량 제한 등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의약계는 “사재기 조짐은 없다”고 손사래를 친다. 외려 정부의 섣부른 대책이 ‘가수요’만 자극할지 모른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이번 사태는 지난달 말 경기 하남시에서 불거졌다. 하남 망월동의 한 약국에서 중국인 한 명이 여행용 가방에 감기약 600만 원어치를 구매했다는 보도가 나왔고, 여러 매체를 통해 재생산됐다.

그러나 보도가 계속되자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 관세청과 함께 ‘감기약 사재기 근절 대책’ 시행 계획을 발표했다. 이튿날엔 대한약사회가 약국의 의약품 대량 판매 자제를 권고하는 캠페인을 시작하며 보조를 맞췄다. 하지만 정확한 조사에 기반하지 않은 정부 대처는 부작용을 낳기 마련이다. 정부가 먼저 나서 수급 불균형을 경고하자, 불안감을 느낀 시민들의 사재기 심리도 덩달아 커진 것이다. 단적으로 최근 며칠 사이 내국인들의 구매 수량이 늘었다는 게 약사들의 공통된 설명이다. 경기 부천의 C약사는 “새해 들어 당장 아픈 것도 아닌데 약을 사다 놓거나 1개를 구매하려고 했던 손님이 미리 사둬야겠다며 3~5개씩 달라고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말했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9.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재명이 윤 대통령 신년인사회에 불참한 이유“전화 한 통 없이 이메일 덜렁 보내”...야당 유일 참석 정의당 이정미, 윤 대통령에 ‘난쏘공’ 선물 대통령은 없고 돼통령만 있는 무정부상태인데 신년인사는 무슨!
출처: newsvop - 🏆 6. / 6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2월 외환보유액 70.6억달러↑…‘2개월 연속 늘어’지난해 12월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4,231억 6,000만 달러로 한 달 전보다 70억 6,000만 달러 늘었...
출처: KBSnews - 🏆 21.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새로 바뀐 ‘부모급여’, 얼마나 어떻게 받을 수 있나보건복지부는 돌봄이 집중적으로 필요한 영아를 가정에서 맘 편히 돌볼 수 있도록 하는 부모급여를 이달부터 지원한다고 3일 밝혔다.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간호조무사가 산부인과 수술 600번…알바생도 도왔다600회 넘게 대리 봉합수술을 한 간호조무사와 이를 직접 집도한 것처럼 꾸며 요양급여비를 부정 수급한 병원장 등 의사들이 실형을 선고받았습니다. 의사면허 취소해라? 이런 것들이 의사
출처: hankookilbo - 🏆 9. / 59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적' 규정하고 미사일 내세운 북한…불안감 방증일까? - BBC News 코리아북한: 한국 '적' 규정하고 미사일 내세운 북한…불안감 방증일까? 일각에서는 북한의 이번 당 전원회의 보고서가 오로지 '미사일'만 강조한 모순투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출처: BBCNewsKorea_u - 🏆 7. / 6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체공휴일·만 나이·우회전 일시정지…새해 달라지는 10가지검은 토끼의 해 2023년 🐰 ‘만 나이’ 도입부터 최저임금 인상 등 달라지는 제도들이 많은데요. 일상생활에서 도움이 될 법한 내용 10가지를 꼽아 정리했습니다. 🔽2023년부터 달라지는 것 10가지
출처: hanitweet - 🏆 12.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