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를 모두 옮겨라'... 5·18 이튿날 전두환 거품물게 한 경찰이 있었다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4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1%
  • Publisher: 51%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김종성의 히,스토리] 전라남도경찰국 안병하 도경국장 '시민에게 총부리를 겨눌 수 없다'

1980년 5월 광주에서는 실정법 준수가 큰 의미가 없었다. 전두환과 신군부가 사회질서를 위협하는 상황에서 실정법을 뛰어넘는 저항권 행사가 용인될 수 있었다. 광주시민들이 전두환과 신군부를 향해 총을 들고 무장한 것은 정당한 권리행사였다.

물론 전남도경도 당시 국가권력의 죄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위원회가 작년 12월 26일 펴낸 보고서인 은"5·18 기간 중 체포된 사람들은 제31사단, 상무대, 공군 헌병대, 광주교도소, 지역 경찰서/파출소 등으로 연행·구금"됐다고 설명한다. 이처럼 전남도경의 지휘를 받는 광주 경찰에서도 국가권력에 의한 5·18 인권침해가 일어났다. "아무리 생각해도 진압 강도를 더 높이면 시민들이 학생시위에 합세할 가능성이 커 보였다. 안 국장은 어떻게든 시위가 더 커지지 않도록 잘 관리해서 시위대가 제풀에 지쳐 가라앉도록 하는 게 서로 피해를 줄이면서 사태를 수습하는 현명한 방안이라고 생각했다." 안병하는 시위 진압에 능한 경찰이었다. 하지만 경찰이 시민에게 총을 들면 사태가 악화될 뿐이라는 게 그의 판단이었다. 이에 따라 그는 일선 경찰관들에게서 총기를 거둬들였다. 평전에 따르면, 전남도경이 작성한 '집단사태 발생 및 조치 상황'이란 문서에 이렇게 적혀 있다.이 조치는 신군부를 경악시켰다. 시위가 들끓는 광주에서 무기를 치워버린 이 사건을 신군부는 황당해 했다. 그런 신군부의 반응을 1980년에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단이 작성한 '전남도경국장 직무유기 피의 사건'이란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평전에 따르면, 이 문서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안호재 대표는 아버지가 치안본부장뿐 아니라 이희성 계엄사령관과 김종환 내무부장관 등의 압력도 받았다고 말했다. 그런 압력하에서도 안병하가 시민의 안전을 우선시했던 것이다. 그가 이처럼 소신대로 움직일 수 있었던 데는 '믿는 구석'도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6.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경찰 무기 모두 옮겨라'... 5·18 이튿날 전두환은 왜 당황했나[김종성의 히,스토리] 전라남도경찰국 안병하 도경국장 '시민에게 총부리를 겨눌 수 없다'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장태완 “대가리 뭉개버린다”…전두환 칠 기회 3번 있었다12·12 당시 9공수여단장으로 쿠데타 세력에 맞서 출동했다가 육군 수뇌부의 만류로 회군. 12·12 당시 30경비단장으로 쿠데타 세력 지휘부에 장소 제공. 12·12 당시 수경사 헌병단장으로 쿠데타 세력에 가담. - 전두환비사,전두환보안사령관,전두환세력,장태완,노태우,박정희,서울의봄,전두환 장태완,장태완 정우성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의협 회장 2차 압수수색영장 들여다보니…경찰 “전공의 법률지원” 집중 수사경찰이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 당선인을 수사하면서 집단 사직한 전공의에게 법률지원을 한 부분에 대한 혐의 입증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의에 대한 법률지...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두환 우상화 함께 막아주세요” 5·18 광주 찾는 전씨 고향 시민들“이렇게 두다가는 20∼30년 뒤 ‘전두환 동상’이 세워지지 않을 거라 누가 장담할 수 있습니까?” 지난 14일 경남 합천군 합천읍에서 만난 이창선씨(57)가 ‘일해공원’ 표...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후배들과 함께 공부방 '여사서실' 만들다[김삼웅의 인물열전 - 실천적 역사학자 강만길 평전 25] 제자들과 함께 책을 출간하면서 따뜻한 행복감을 느낄 수 있었다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영수회담 합의 전무했지만, 대통령실 “솔직하고 허심탄회하게 대화”이도운 홍보수석 “대승적으로 인식 같이한 부분 있었다” 강조
출처: newsvop - 🏆 6. / 6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