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조성진 '처음엔 잠이 덜 깼나 싶어…모차르트 초연, 영광이자 기쁨'

  • 📰 JTBC_news
  • ⏱ Reading Time:
  • 63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9%
  • Publisher: 63%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인터뷰 조성진 '처음엔 잠이 덜 깼나 싶어…모차르트 초연, 영광이자 기쁨'

이번 주말부터 문화초대석을 다시 시작합니다. 코로나로 모두가 지친 요즘, 작은 위로가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준비했습니다. 지금 들으시는 곡은 250년 가까이 숨겨져 있었던 모차르트의 곡, 알레그로 d장조입니다. 마치 모차르트가 코로나로 지친 우리에게 선물이라도 하듯 오랫동안 잠들어 있던 곡이 깨어났는데요. 지난 1월 27일 모차르트의 265번째 생일날,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에서 이 곡을 처음으로 연주한 주인공이죠. 피아니스트 조성진 씨를 화상으로 연결하겠습니다. 지금 룩셈부르크에 계신데, 많은 분들이 정말 반가워하실 것 같습니다. 조성진 씨 안녕하세요.네. 2016년에 이어서 18년, 뉴스룸과는 벌써 세번째 인터뷰입니다. 앞선 두 번은 손석희 앵커와 하셨고, 저와는 처음이시죠. 이렇게 시간 내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이번 공연 이후 방송에 나오시는 게 저희가 처음인 것으로 제가 알고 있어서, 많은 분들이 정말 궁금해 하는 질문 먼저 드려야할 것 같습니다.

[조성진/피아니스트 : 제가 사실 연락을 받았을 때 낮잠을 자고 있었는데요. 일어나 가지고 메시지를 확인하고 약간 잠이 덜 깼나? 그랬는데, 다시 제대로 읽어보니까 모차르트 곡이더라고요. 그래서 저는 딱히 의심은 안 했는데, 모차르트 악보를 그 받아보고 아, 진짜 모차르트가 쓴 게 맞구나 생각, 확신이 더 들었던 것 같아요.][조성진/피아니스트 : 말로 표현하기 힘든 그런 모차르트만의 그런 특징? 음악적 특징을 잘 느낄 수 있었고, 악보만 봤어도 그랬고, 직접 연주해보니까 정말 그 모차르트 초기 작품의 느낌을 많이 받을 수 있어서 확신이 들었어요.]연주하실 때 보니까 입꼬리가 이렇게 올라간 웃는 모습도 보이고, 아주 즐거워 보이셨어요. 조성진 씨가 공연 중에 이렇게 웃는 건 아주 드문 장면이지 않나 싶었는데요.아무래도 즐거운 마음을 담아서 연주해주셔서 그런지, 저도 굉장히 유쾌한 느낌으로 이 곡을 받아들였는데요.

[조성진/피아니스트 : 네. 제 생각에 이번에 연주한 그 새로 발견된 곡은 되게 귀엽고 그리고 유머, 위트. 위트가 있고, 그러면서 서정적인 부분도 있었고요. 그래서 전 그 대비가 너무 좋았던 것 같아요. 그것 또한 저는 스토리텔링이라고 보고 있고. 이 곡에서도 스토리텔링을 느낄 수 있었어요. 그리고 뭔가 이번 특히 이번 곡은 모차르트의 재기발랄함? 이런 것도 느낄 수 있었어요.]특히나 이번 곡은 조성진 씨가 그야말로 처음으로 해석을 하신 거라, 곡 해석에 있어서 평소보다 고민의 시간이 조금 더 길지 않았을까? 이런 생각도 들었는데, 실제로는 어떠셨어요?

[조성진/피아니스트 : 제가 이 곡을 준비할 수 있었던 시간은 한 6일정도 밖에 안됐었는데요. 사실 이 곡이 2분도 안 되는 짧은 곡이긴 하지만, 그 2분 곡을 하루에 정말 오랜만에 이렇게 많은 연습을 했던 것 같아요. 뭐 다섯시간 씩 그 2분짜리 곡을 주로 연습을 했었는데요. 레퍼런스, 레코딩 이런 게 없으니까 그게 조금 더 부담이 되기도 했고 어려웠던 것 같아요. 최대한 맑은 느낌이 나게 하려고 했었던 것 같아요. 한번은 제가 그냥 밖에 산책을 하러 가서, 커피를 마시러 갔는데 갑자기 그게 생각이 나서, 악보가 생각이 나서 그 핸드폰으로 다시 악보도 보고 그랬던 것 같아요. 그래서 하루 종일 그 음악 생각을 하기는 했던 것 같아요.]어떻게 보면 코로나 시대에 모두가 지쳐있으니까, 어느 때 보다도 예술이 주는 위로가 필요할텐데, 관객들 만나는 게 여의치 않죠. 조성진 씨도 그런 부분에서 많이 아쉬울 것 같은데요.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3.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