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와 현실] 감옥과 너무 친한 한국 사회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55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5%
  • Publisher: 51%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지난 주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머그샷(범인식별용 사진)을 찍은 게 화제가 됐다. ...

지난 주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머그샷을 찍은 게 화제가 됐다. 미국 전·현직 대통령을 통틀어 형사 기소를 당한 것도, 이런 사진이 찍힌 것도 처음이라고 한다. 지폐와 동전에 역대 대통령의 초상화를 점점이 박아놓은 미국인들인 만큼 충격을 받을 만하다는 생각도 든다. 그나저나 역대 45명의 대통령 중 구속이나 투옥은 고사하고 형사 기소를 당한 것도 처음이라니, 현직 포함 13명의 대통령 중 3분의 2 이상이 감옥 신세를 진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인으로선 신기한 느낌이다.일본은 어떨까? 일왕이야 사법처리는커녕 비판도 제대로 하기 어려운 존재니 논외로 치고 내각총리대신, 즉 총리를 살펴보자. 1948년 아시다 히토시 총리가 쇼와전공사건으로, 1976년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가 록히드 사건으로 기소된 적은 있으나 감옥신세는 면했다. 1885년 내각제도 창설 이래 지금까지 64명의 총리 중 옥살이를 한 이는 떠오르지 않는다.

그러고 보면 한국인은, 정확히 말해 한국 정치는 감옥과 너무 친하다. 한국 대통령들은 미국과는 달리 화폐에는 얼씬도 못하는 반면, 머그샷 따위를 가볍게 넘어 감옥에 간다. 재임 시 행적으로 감옥에 간 분들도 있고, 대통령 되기 전 민주화운동으로 투옥된 양반들도 있다. 대통령뿐 아니다. 정치인, 기업인들 중에서도 ‘별 단 사람’들이 즐비하다. 재벌총수들은 마치 통과의례처럼 감옥을 다녀오곤 한다. 빌 게이츠나 워런 버핏이 죄수복을 입고 있는 장면은 참 낯설 것이다. 물론 정의를 실현하려다 투옥된 것과, 부정한 일을 해서 가게 된 감방행은 구분되어야 한다. 그러나 ‘옥고’나 ‘옥바라지’라는 한국어가 상징하는 것처럼, 그런 구분이 뒤섞여, 감옥행이 한 인간의 사회적 커리어에 결정적 타격이 되지는 않는, 심하게 말하면 ‘큰일 하다 보면 그럴 수도 있지’라는 사회적 심성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과거 독립운동과 민주화운동 시절에는 ‘별’이 큰 자랑이었고 정치적 자산이었다. 감옥은 정의 집행의 장소라기보다 불의 저항의 상징처럼 여겨져 왔다. 그러니 비록 거룩한 일을 하다 감옥에 간 게 아니라 하더라도 수감자에 대한 거부감은 다른 나라에 비하면 현저히 낮다. 영화 에서 뇌물을 받아 포승줄에 묶인 채 호송 차량에 타던 정치인이 하늘을 바라보며 “아~~이 나라가 걱정이야”하던 장면이 생각난다.

조선시대의 원격감옥행이라 할 수 있는 유배도 정작 당사자의 명예에 큰 대미지가 된 적은 별로 없는 듯하다. 유배지를 관할하는 지방관리는 물심양면으로 죄인을 배려했고, 현지 주민들도 죄수 바라보듯 하지 않았다. 정의의 배반자라기보다는 체제의 불운아로 여겨지기 십상이었고, 그 불운이 가셔 화려하게 복귀하는 일은 심심치 않게 일어났다. 이런 상황은 세상의 불의에 대한 비판 정신이 치열하다는 것일 수도 있지만, 달리 보면 법치, 체제권위 같은 게 여전히 확립돼 있지 않다는 뜻이기도 하다. 트럼프는 구치소에서 나오면서 끔찍한 경험을 했다며 “선거 개입에 절대 굴복하지 말자!”는 문구를 게시했다. 트럼프도 사법당국과의 인연을 ‘별’로 삼으려는 걸까. 각 신문에 느닷없이 그의 얼굴이 대문짝만 하게 나왔길래 이리저리 해본 생각이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글로벌포커스] 한국은 절대억제수단이 필요하다美는 우크라 전투기 지원 안해핵보유 러 자극이 두렵기 때문北이 ICBM으로 위협해오면?한미동맹을 너무 믿으면 곤란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황기철 '홍범도 장군을 왜 폄훼하는지 어처구니 없다'해군참모총장·국가보훈처장 지내... "권력자는 역사와 국민 앞에 겸손해야"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박태균의 역사와 비평] 한국의 독립 첫 선언…일본이 점령한 동남아는 왜 빠졌나‘적절한 과정’ 통해 독립이 남긴 것 카이로 선언은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 영국의 처칠 총리, 그리고 중화민국의 장제스(蔣介石) 총통이 만나서 군국주의 일본의 전후 처리 문제의 원칙을 결정한 선언이었다. 하나는 열강들이 한국에 대한 독립을 선언한 첫 번째 선언이었으며, 포츠담 선언으로 이어지면서 한국의 독립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이다. 독일의 점령하에 있었던 프랑스와 네덜란드, 그리고 연합국 핵심이었던 영국은 모두 아시아에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고, 2차대전을 통해 일본에 의해 인도를 제외한 식민지 지역에서 쫓겨난 상태였다.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학 배우러 한국 온 中교수·학생들...훈몽재가 어떤 곳?한국 유학 맥잇는 고당 김충호 선생 고창군 훈몽재 기거하며 후학 양성 中난창대·인민대 등 교수·학생 30명 일주일 머물며 한국 유학 정수 배워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스쿨존 30km 지키면 뭐하냐'...기가 막힌 아이들 장난 [Y녹취록]■ 진행 : 안보라 앵커■ 출연 : 승재현 선임연구위원 한국...
출처: YTN24 - 🏆 2. / 6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근 10년간 형성된 분노가 터지기 시작' 대한민국에 쌓인 화(火) [Y녹취록]■ 진행 : 안보라 앵커■ 출연 : 승재현 선임연구위원 한국...
출처: YTN24 - 🏆 2. / 6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