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경향포럼]“한국식 포퓰리즘인 ‘팬덤정치’ 보다 미래세대에 귀기울여야”[토론 전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74 sec. here
  • 4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6%
  • Publisher: 51%

포퓰리즘 뉴스

2024 경향포럼

‘분열의 시대, 다양성과 포용이 희망이다’를 주제로 한 토론이 26일 열렸다.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이날 토론에는 옌쉐퉁 중국 칭화대 국제관계연구...

옌쉐퉁 중국 칭화대 국제관계연구원 원장, 야스차 뭉크 미국 존스홉킨스대 국제학대학원 교수, 에밀리아 팔로넨 핀란드 헬싱키대 정치학과 교수, 이관후 건국대 상허교양대학 교수가 26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4 경향포럼 에서 최태현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의 진행으로 ‘분열을 넘어, 화합과 상생으로’를 주제로 토론하고 있다. 조태형 기자

-옌쉐퉁 “앞선 강연에서 포퓰리즘이 민주주의에서 생겨났다고 말씀을 드렸는데요. 그렇다고 해서 포퓰리즘이 개발도상국에는 없다라는 뜻은 전혀 아닙니다. 중국이나 또 여러 개도국에서 포퓰리즘이 모멘텀을 얻고 있습니다. 이미 이야기를 들으신 것처럼 민주주의 국가 안에서도 정치적 분열이 있고 중국 인터넷을 보면 정치적 분열이 분명히 중국에도 존재합니다. 앞서 뭉크 교수님께서 말씀을 해주신 것처럼 사람들이 이렇게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나와 동의하지 않으면 너는 적이고 역적이고 또 우리나라를 위하는 사람이 아니다’라고 생각을 하면서 ‘없애야 한다’라고 생각하는 것이죠. 의견이 다른 사람들에 대한 이러한 태도는 전혀 관용이 없는 태도입니다. 모두가 자신의 의견에 대한 권리를 갖고 있죠. 앞서 어떻게 하면 계속 발전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이야기가 나왔었는데 관용의 정신을 발휘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최태현 “야스차 뭉크 교수님께 좀 여쭙겠습니다. 미국에서 전개되는 포퓰리즘의 상황에서 어떤 부분이 더 우려가 되는지, 그리고 어떤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으신지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관후 “여러가지 면에서 지금 한국은 포용도 사라졌지만 다양성도 확보되지 못한, 지금 우리가 그런 전환점에 와 있는 것 같아요. 한편으로 보면 이것은 한국의 국가 발전 전략과 지금 한국이 성장해 온 것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독일과 일본 그리고 그 다음에 후발산업국으로서 국가 전체가 하나의 일사불란한 획일성을 기준으로 한 경제 전략을 선택했고, 그리고 나름대로 어느 정도 성공을 이뤘다고 생각해요. 그때는 어느 정도 포용성이 있었어요. 왜냐하면 끊임없이 연간 7~10%의 성장을 계속해서 해왔기 때문에 그걸 나눠줄 수 있는 자원들이 계속해서 늘어났던 것이죠. 근데 지금 최근 몇 년 사이에 한국은 파이가 늘어나지 않아 제로섬 게임으로, 사회적 자원을 나누는 게임의 양상이 전혀 달라진 겁니다.

-최태현 “이번에는 옌쉐퉁 교수님께 여쭤보고 싶습니다. 이게 중국에서 개인과 집단의 이슈를 조정하는 게 국정 관리에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이슈가 돼 있을 것 같습니다. 저희가 궁금한 것은 이게 전통적 관점에서 접근되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최근에 사회주의 이념과 더 맞닿아 있는 방식으로 접근되고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옌쉐퉁 “중국에서 젊은 세대들은 다양성을 이야기할 때 삶의 다양성에 대해 이야기를 합니다. 저는 다른 사람들과 다른 삶을 살고 싶다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부모와는 다른 삶, 조부모와는 다른 삶을 살고 싶다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민주주의를 더 발전시키기 위해서 젊은 세대들의 이야기를 경청해야 합니다. 그들이 원하는 민주주의가 무엇인지를 들어야 합니다. 우리 세대가 말해봤자 소용이 없습니다. 젊은 세대들이 어떠한 민주주의를 원하는지 그들이 결정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냉전 시대의 세대가 여전히 권력을 잡고 있죠. 그들의 생각은 젊은 세대들의 사고 방식은 굉장히 다릅니다.”

2024 경향포럼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2024 경향포럼][대담 전문]힐러리 클린턴 “분열로 퇴보하는 세상, 함께 더 나아지는 길 찾아야”힐러리 클린턴 전 미국 국무장관이 26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에서 ‘모든 시민을 위해’ 존재해야 할 민주주의가 퇴행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024 경향포럼][인터뷰 전문]“정치 양극화 겪는 한국…정치 상대를 ‘경쟁자’ 아닌 ‘적’으로 인식해”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 야스차 뭉크 미국 존스홉킨스대 국제대학원 교...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024 경향포럼 기고] 권리자 넘어 권력자 군림하려는 ‘팬덤 시민’…민주주의 퇴행시키는 ‘폭력’일 뿐팬덤 정치는 사회 구성원의 다양한 선호를 존중하는 다원 민주주의를 위협한다. 선호의 다양함, 이견의 풍부함은 존재할 수 없고, 오로지 누군가에 대한 추종과 또 다른 누군가에 ...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024 경향포럼]“반대 세력을 ‘적’으로 규정하는 것, 정치의 다양성 파괴”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 야스차 뭉크 미국 존스홉킨스대 국제학대학원 ...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024 경향포럼]“점점 극으로 치닫는 사회··· 민주주의 후퇴 어떻게 막을까”민주주의 후퇴와 붕괴는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세계 곳곳에서 갈등과 혐오가 극심해지는 가운데 인권과 평등처럼 ‘글로벌 스탠더드’로 여겨지던 가치와 규범들이 점점 빛을 잃고 있...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024 경향포럼] “우크라이나·가자 전쟁이 마지막 아닐 것···각국 정치 다양성 인정해야”“할리우드 영화에서 범죄자들이 은행을 털면서 인질극을 벌이면, 경찰이 ‘인간 방패’를 다 죽여서라도 범인을 잡습니까?” 옌쉐퉁(閻學通) 중국 칭화대 국제관계연구원장이 26일 ...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