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월드] 차이나머니로 엮은 “개도국 발전 모델”…‘채무의 덫’ 낚인 빈국들 신음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4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1%
  • Publisher: 51%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관련국에 인프라 건설 차관 제공경제·외교 영향력 확대 수단으로 중국의 ‘일대일로’(육상·해상 실...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가 7일로 10년을 맞는다. 지난 10년간 일대일로 사업은 중국의 서쪽인 동남아시아·중앙아시아에서 시작해 아프리카·유럽을 잇고 바다 건너 미국의 ‘뒷마당’인 중남미까지, 지구 한 바퀴를 도는 규모로 확장됐다.그러나 동시에 일대일로는 적지 않은 도전에 직면해 있다. 서방은 중국이 일대일로를 앞세워 개도국에 막대한 자금을 지원하면서 영향력을 확대한 후 빚을 갚지 못하면 항만 등 기간 시설 운영권을 차지하는 방식으로 ‘채무의 덫’을 놓고 있다고 비판한다.일대일로는 과연 중국의 주장처럼 개도국의 ‘공동발전 모델’인가, 아니면 서방의 비판처럼 개도국을 채무의 덫에 빠뜨리는 ‘올가미 협정’인가. 일대일로를 통해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실현하겠다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원대한 포부는 실현될 수 있을까.

중국은 올해 일대일로 10년을 맞아 대대적인 성과를 내세우고 있다. 최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지난 10년 동안 152개국과 32개 국제기구가 200여건의 일대일로 협력 문서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중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한 국가의 83%가 일대일로에 참여했다는 설명이다. 동시에 일대일로 참여국에 건설한 역외경제무역협력구에서 42만10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됐다는 점도 성과로 내세운다. AP통신은 지난 5월 잠비아와 스리랑카, 우간다, 케냐, 몽골, 라오스 등 디폴트에 빠졌거나 경제 위기에 처한 12개 빈국을 대상으로 채무 상황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이들 국가의 외채 50% 이상이 중국 채무이며, 정부 세수의 3분의 1 이상을 중국에 대한 부채 상환에 쓰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전했다. 중국은 일대일로 명목으로 지급하는 자금에 통상 국제통화기금의 약 두 배 수준인 연 5% 금리를 적용한다.

다만 어떤 이유에서든 일대일로 참여국의 부채 문제는 중국에도 부메랑이 되고 있다. 중국도 부채의 함정이라는 비판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빚을 독촉하기가 어려워졌고 돌려받을 수 없는 악성 채무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컨설팅업체 로디움그룹은 2020년부터 지난 3월까지 일대일로 사업을 위해 중국이 상대국 인프라 건설을 위해 제공한 부채 가운데 785억달러가 탕감되거나 재협상을 통해 상환 기간을 연장했는데 이는 2017∼2019년에 탕감 또는 재협상된 부채 170억달러보다 4배 이상 많은 것이라고 분석했다.여러 측면에서 시 주석이 야심차게 시작한 일대일로 사업은 동력을 잃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그러나 일대일로는 중국이 쉽게 포기할 수 없는 프로젝트다.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중국몽’과 직결돼 있기 때문이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사이 월드] 10년 맞은 일대일로, ‘공동발전 모델’인가 ‘채무의 덫’인가중국의 ‘일대일로(육상·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가 오는 7일로 정확히 10년을 맞는다. 지난 10...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연10% 준다더니, 500만보 걸어야' 금리에 낚인 우대금리 함정최고 연 6~13%대 금리를 준다는 상품들에 관심을 가졌지만, 까다로운 우대금리 조건에 실망하면서다. 까다로운 우대금리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만 최고금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웰컴저축은행의 '웰뱅워킹적금'은 최대 연 10% 금리를 주지만, 1년에 500만보 넘게 걸어야 최대 우대금리인 연 8%포인트를 받을 수 있다.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글로벌기업 아태본부, 서울 유치 추진'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 인터뷰韓 전기차·AI 경쟁력 최고美 의회·행정부도 주목한국은 美의 6대 교역 국가중기간 교류 증가 위해양적·질적 발전 가교될 것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이폰 프로맥스 뛰어넘는 최상위 모델?…7일 뒤 아이폰 15 공개4일(현지시간) 업계에 따르면 마진 부(MajinBu)라는 이름의 유명 IT 팁스터(Tipster·정보 유출자)는 자신의 엑스(옛 트위터) 계정에 '내가 확보한 정보에 따르면 새로운 아이폰15 라인업에 변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애플이 프로맥스와 함께 울트라를 공개할 수 있다'며 '울트라는 프로맥스와 다른 모델로, 올해 프로맥스가 가장 좋은 모델이 아닐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진 부는 '아이폰15 프로맥스는 6GB(기가바이트) 램과 최대 1TB(테라바이트)의 메모리를 갖추고 울트라는 8GB 램과 최대 2TB의 메모리, 더 나은 카메라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울트라의 가격은 프로맥스보다 약 100달러 비쌀 것이라고 덧붙였다.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안동현의 이코노믹스] ‘성장 엔진’ 멈춘 중국, 국가주도 모델 이젠 안 통해개혁과 개방을 표방한 국가주도형 발전모형을 통해 이후 중국이 값싼 노동력을 활용해 저렴하게 생산한 물품을 미국이 소비해주면서 중국은 성장을, 미국은 저물가를 교환하는 공식이 정립되면서 중국의 성장률은 비등하기 시작했다. 강력한 내수 진작만이 활로 첫 번째 견해, 즉 경제적 요인은 마이클 페티스(Michael Pettis)나 폴 크루그먼(Paul Krugman)과 같은 주류 경제학자들이 주장하는 것으로 기존 중국의 국가주도형 투자중심 성장전략은 한계에 달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내수, 특히 소비 중심 성장전략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절대권력 시진핑의 기업 옥죄기 최근 중국 정부가 내수 중심 성장전략을 표방하고 있지만 실제 이러한 움직임은 시진핑(習近平)이 집권한 2015년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문체부 ‘CAST 사업’, 中企 수출과 한류 ‘두마리토끼’ 잡는다‘세계적인 인기를 얻는 한류 IP의 직접 참여’라는 사업 특징을 활용해 세계 각 권역에서 열리는 대규모 K컬처 행사에 CAST 전시관을 열어 세계 소비자 및 한류 팬을 찾아간다. 〈한류연계 협업콘텐츠 기획개발 지원〉사업(이하 CAST 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가 주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원장 정길화, 이하 진흥원)이 주관하며, 전 세계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한류와 연계해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 수출과 한류의 외연 확대를 동시에 추구하는 다목적 사업이다. 한류 IP 매칭형에 선정된 참여기업과 협업 한류IP는 ▲에이더 & 케이팝 그룹 엔믹스(NMIXX), ▲빌라에르바티움 & 케이팝 그룹 에이비식스(AB6IX), ▲뉴트리어드바이저 & 케이팝 그룹 유나이트(YOUNITE), ▲보앤봉 & 케이팝 그룹 트라이비(TRI.BE), ▲디팩코퍼레이션 & 케이팝 그룹 빌리(Billlie), ▲큐앤코 & 모델 정혁, ▲이스트엔드 & 모델 박제니, ▲돌실나이 & 모델 태이, ▲BUHEE & 배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