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민주주의를 아는 우리는 달라요, 끝내 이길 거예요”

  • 📰 hanitweet
  • ⏱ Reading Time:
  • 2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3%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미얀마 군부의 대응은 한층 잔혹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공격이 예상되는 곳에 민간인을 ‘인간 방패’로 세운다. 하지만 카잉과 같은 미얀마의 엠제트 세대는 군부를 상대로 끝내 승리를 거둘 것이라 믿고 있다. 짧은 민주주의를 기억하는 이들 세대의 목소리를 들었다.

당장 군부 쫓아낼 순 없지만 다시 민주정부 세울겁니다” 미얀마 청년 카잉의 세 손가락 경례. “우리는 민주주의의 맛을 본 세대잖아요. 이대로 살 수가 없어요.” 지난 9월 한국에 온 미얀마 청년 카잉은 1990~2000년대 태어난 미얀마의 이른바 ‘엠제트’ 세대다. 한국의 1987년 6월 혁명과 달리 실패로 끝난 미얀마의 1988년 ‘8888 항쟁’ 세대와는 생활 습관이나 사고 방식이 모두 다르다. 감수성이 예민한 10대 때부터 2015년 11월 총선거 이후 이어진 미얀마의 ‘짧은 민주주의’를 직접 체험한 첫 세대이기 때문이다. 미얀마의 젊은 세대는 지난 2월 발생한 군사 쿠데타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떻게 저항하고 있을까. 는 지난달 25일 미얀마인 카잉을 만나 현재 미얀마의 정세와 관련해 미얀마 젊은이들이 느끼는 솔직한 생각에 귀 기울여봤다. 그의 안전을 위해 구체 정보는 밝히지 않는다.

미얀마 시민들이 계속 싸우고 있기 때문에, 아세안도 눈치를 보는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카잉과 같은 미얀마의 엠제트 세대는 ‘8888항쟁 세대’와 달리 군사정권을 상대로 한 싸움에서 미얀마인들이 끝내 승리를 거둘 것이라 믿고 있었다. “예전 ‘8888항쟁’ 세대 중에는 그때 졌으니 이번에도 질 거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어요. 우리는 달라요. 지금은 인터넷이 있어 서로 연락을 주고받을 수 있고, 세계가 미얀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도 지켜보고 있잖아요.” 그의 말대로 미얀마 시민단체는 쿠데타 이후 시민 사망자 수와 구속자 수 등을 날마다 집계해 인터넷에 공개하고 있고, 미얀마 온라인 매체들은 시민방위군의 전투 상황을 실시간으로 보도하고 있다. “한국이 그랬듯이, 때가 되면 국민들이 다시 일어설테니까 지켜봐 주세요. 당장 군부를 쫓아낼 수는 없겠지만, 2년 정도 뒤면 다시 미얀마에서 민주 정부를 볼 수 있을 거예요.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韓日 정상, 영국에서의 만남 불발...日 기시다 총리, 바이든 대통령 첫 대면[앵커]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한일 정상 간 만남이 끝내 불발됐습니다.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취임 이후 처음으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대면했습니다.김원배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 한국을무시하죠!
출처: YTN24 - 🏆 2. / 6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