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행에 실패했지만, '재개봉 운동'까지 일었던 영화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39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9%
  • Publisher: 51%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영화] 스무 살 여성들의 우정 담은

현재 대한민국의 '3대 영화제'는 청룡영화상과 대종상시상식, 그리고 백상예술대상을 꼽는다. 하지만 이 3대영화제 외에도 영화 감독조합에서 주최하는 디렉티스컷 어워즈와 평론가들이 주는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촬영감독협회에서 주최하는 황금촬영상, 독립영화협회에서 주최하는 올해의 독립영화상, 독립영화와 저예산 영화를 대상으로 하는 들꽃영화상 등 크고 작은 영화제들이 꾸준히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1995년에 개봉했던 이민용 감독의 는 무더운 여름날, 변두리 서민 아파트 여성들이 남자들을 피해 아파트 옥상에 모이면서 벌어지는 소동을 그린 블랙코미디영화다. 이들은 서로 친하게 지내기도 했고 일면식조차 없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같은 아파트에 사는 '여성'이라는 공통점을 통해 가까워졌다. 그렇게 서로의 사연을 공유하고 서로를 이해하게 된 여성들은 옥상에서 자신들을 무시했던 남자들과의 싸움을 이어간다. 와 을 통해 스타배우로 도약한 김다미와 11일 현재 넷플릭스 월드랭킹 1위에 올라있는 드라마 의 주인공 전소니가 출연했던 도 여성들의 우정을 그린 대표적인 영화다. 2016년에 만들어진 중국영화 를 리메이크한 는 전국 23만 관객에 그치며 흥행에는 실패했지만 둘도 없는 친구가 어른이 되면서 멀어지는 과정을 담담하게 그려냈다.2001년 가을부터 겨울까지 와 , 로 이어지는 '조폭 코미디'가 극장가를 지배하며 나란히 서울관객 100만을 넘기는 흥행돌풍을 일으켰다. 하지만 조폭 코미디가 크게 유행하면서 상대적으로 적은 제작비 때문에 유명배우들을 캐스팅할 수 없었던 작은 영화들은 스크린 확보와 흥행에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었다. 역시 그런 작품들 중 하나였다.

에서는 혜주만 혼자 졸업 후 서울로 왔고 태희와 지영, 비류, 온조는 계속 인천에 사는 걸로 나온다. 실제 촬영 역시 인천에서 주로 이뤄졌는데 동인천역과 차이나타운, 월미도 등 인천사람이라면 한눈에 알아볼 수 있을 법한 인천의 유명한 장소들이 등장한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6.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12년 만에 돌아온 ‘접속’ 장윤현 “신인의 기분···절박한 마음이었다”장윤현(57)은 1990년대 후반 가장 주목받는 신인 영화 감독이었다. 장편 데뷔작 (1997)은 한국 영화 르네상스의 문을 연 멜로라는 평가를 받으며 흥행에 성공했고...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우산 속에서 등장한 이 남자, 극장에서 터진 탄성[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영화] 인터넷 소설 원작의 로맨스 영화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연금받고 조용히 살려 했더니... '위험한 은퇴자' 잘못 건드린 정부[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영화] 노장배우들이 모여서 만든 영화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용인 3.1만세운동, 예술작품으로 승화하다'3.1운동 105주년 특별기획전', 용인 근현대미술관담다에서 개막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이부진과 아들 ‘이곳’서 주말 즐겼다…전국 농구 마니아 몰렸다는데판교 현대백 이랜드뮤지엄 전시 관람 이부진 아들, NBA 직관 등 농구 즐겨 ‘위대한 농구’ 전시 흥행에 2주 연장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문화와 삶]존재와 부재의 증명이달 초 넷플릭스에 공개된 영화 (2024)은 살기 위해 벨기에로 밀입국한 탈북인 ‘기완’의 삶을 들여다보는 조해진의 소설 를 각색한 영화다. 영화...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