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홍수 위험 주거지 122% 증가, 그래도 계속 짓는 이유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56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6%
  • Publisher: 51%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지난 30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홍수 위험에 노출된 정착지가 크게 늘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 30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홍수 위험에 노출된 정착지가 크게 늘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후 위기가 심화하고 있는 가운데 인류의 주거 환경이 갈수록 재난에 취약해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제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4일 공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1985년부터 2015년까지 30년간 작은 마을에서 대도시에 이르기까지 홍수 위험에 노출된 정착지 수가 122% 증가했다고 CNN이 보도했다.이번 연구의 주요 저자이자 세계은행 수석 경제학자인 파올로 아브너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인류의 정착지가 기후 변화에 적응해야 하는 시기에 많은 국가들이 오히려 홍수에 대한 노출을 급속도로 늘리고 있다”며 “기후 변화가 전 세계적으로 홍수 재해를 심화시키고 있는 상황에서 매우 우려되는 추세”라고 말했다.홍수 위험에 크게 노출된 정착지는 중·저소득 국가에 몰려있었다. 지역별로는 동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높았고 북미 지역과 건조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낮았다.

지난달 최악의 홍수로 1만명 이상이 숨진 리비아는 홍수 위험이 아주 큰 4등급 주거지가 83% 증가했으며, 지난해부터 2년 연속 엄청난 홍수 피해를 입은 파키스탄은 89%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소득 국가일수록 증가폭이 작았다. 미국에서는 홍수 안전 지대의 정착지가 76% 증가한 반면, 홍수 취약 지역은 46% 증가하는 데 그쳤다. 프랑스, ​​스웨덴, 오스트리아, 핀란드, 일본, 캐나다 등에서도 안전지대 정착지가 더 크게 늘었다.연구팀은 홍수 취약 지역에 정착지가 급증한 이유로 도시를 지을 면적이 부족해진 점을 꼽았다. 안전한 내륙지역은 이미 포화상태로, 각국 정부가 새로운 정착지를 건설하기 위해 해안지역과 저지대로 개발 범위를 넓히고 있다는 것이다. 베트남의 경우 해안 토지의 3분의 1이 이미 정착지로 개발되었고 더 위험한 지역에서 새로운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매년 허리케인의 피해가 커지고 있는 미국 플로리다주의 경우 화창한 날씨와 상대적으로 저렴한 물가로 인구가 급증했는데, 주 정부가 늘어난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고위험 및 저지대 건물에 대한 규제를 완화한 것도 한몫을 했다.

연구팀은 정책 입안자와 도시 계획가들이 홍수 위험이 이미 높은 지역에 대한 조기 경보 시스템과 대피 계획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위험이 증가하는 지역의 토지 계획 및 건축 법규 수정 등 다양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홍수 위험 주거지 30년 새 122%↑…중·저소득 국가 쏠려중국·베트남 등 동아시아 지역 특히 취약
출처: hanitweet - 🏆 12.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총수 일가의 ‘꼼수 지배’공정위, 내부지분율 증가 확인 롯데와 장금상선 등 일부 대기업집단의 총수 일가가 국외 계열사를...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4개월만에 나온 ‘전세사기특별법 보완대책’… 저리대출 소득기준 완화전세사기를 당한 후에도 기존 전셋집에 계속 살아야 하는 피해자들을 위해 정부가 1~2%대 저금...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후위기 적응 해외는, 지금] 스코틀랜드 ‘정체성’이었던 에든버러성 홍수 이후, 문화재 기후 적응은지난달 19일 영국 에든버러성. 가장 많은 관광객이 몰리는 ‘크라운 광장’은 약 10㎝ 정...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8월 제조업 가동률 1년만에 최고 … 서비스·건설업도 약진통계청 산업활동 동향광공업 38개월來 최대증가기계장비·자동차 생산 활력설비투자 3.6% 늘며 파란불경기예측지수도 바닥 다져소매판매는 두 달째 감소세경기회복 위험 요소로 지적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점점 커지는 美 긴축 공포…코스피·코스닥 2.4%, 4% 힘없이 추락 [이종화의 장보GO]美 10년물 4.8% 넘으며 16년 만에 최고 금리상승 부담에 코스피·코스닥 동반급락 美 8월 구인건수 시장 전망치 크게 상회 8월 국내 생산, 30개월 만에 최대 증가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