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어는 여름보양식? 겨울에도 스테디셀러! [ESC]

  • 📰 hanitweet
  • ⏱ Reading Time:
  • 39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9%
  • Publisher: 53%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이윤화의 길라잡이 맛집ㅣ민물장어 장어를 먹자 했을 때 민물장어를 먼저 떠올리냐, 붕장어(아나고)를 상상하냐에 따라 살아...

장어를 먹자 했을 때 민물장어를 먼저 떠올리냐, 붕장어를 상상하냐에 따라 살아온 출신 지역을 추측할 수 있다. 서울을 포함한 중부 지역은 대개 민물장어를, 전남 여수나 고흥 등 남쪽이라면 바닷장어의 경험이 생각날 것이다. 어떤 장어든 지역을 막론하고 기력보강용으로 늘 우선한다.

민물장어 유통업계 사람을 만나니, 장어는 더 이상 여름 보양식이 아니고 계절을 떠난 스테디셀러 음식 재료가 되었다고 한다. 냉면은 본래 겨울 음식으로 만들어졌지만, 외식용 냉면은 여름이 성수기였다. 그래서 냉면 전문점은 겨울엔 살아남기 메뉴를 따로 만들어야 했다. 하지만 지구온난화, 수준 높은 난방시설 속에서 살면서 냉면은 사시사철 즐기는 냉음식으로 자리를 굳혔다. 장어도 마찬가지다. 삼계탕처럼 여름 보양식으로 인식된 시기가 있었지만 지금은 아니다. 당연히 장어의 계절별 수요·공급의 가변성도 줄어들었다. 민물장어가 자라면 먹지도 않고 반년쯤 걸려 태평양까지 이동해 알을 낳고 죽는다. 태어난 새끼는 1년에 걸쳐 어미가 있던 강으로 용케 다시 찾아온다. 강 하구에 오면 실뱀장어가 되고 강으로 가서 성장한다. 이런 자연산 장어의 생리를 잘 파악해 민물장어 양식이 발달했다.얼마 전 국내 민물장어의 생산량 선두를 다투는 전남 영광의 장어양식장을 찾았다. 순환여과식의 50개 수조를 갖춘 큰 곳이었다. 장어가 있는 물을 반복적으로 순환시키고 미세한 망으로 노폐물을 걸러내 쾌적한 공간을 조성하고 있었다. 장어를 먹을 때 간혹 흙내가 나는 불쾌감을 느꼈다면, 대개 장어가 있던 물에 원인이 있다. 자연산 장어는 겨울엔 먹이 활동을 하지 않는데 양식장 장어는 겨울에도 먹이를 계속 먹기 때문에 과도한 지방층이 생긴다. 먹었을 때 느끼한 맛이 강해지는 이유다. 요즘은 장어의 강제 성장이 아닌 장어의 자연 생리를 배려한 양식장도 늘고 있는 추세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무덤 돌며 평온 느끼는 어른들의 여행지 [ESC]최갑수의 작은 마을 여행 경북 경주 대릉원 등 고분이 품은 도시 터만 남은 황룡사, 외롭고 고요 동궁·월지는 화려하지만 허무 나이 들어 다른 느낌 다가와
출처: hanitweet - 🏆 12.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겨울이 눈에 보내는 신호…눈 시리고 콕콕 쑤신다면 [ESC]건강 안구건조증나이 들면서 눈물막에 이상…안구에 통증·이물감·충혈증상 심하면 시력 영향도…눈 휴식·환기·숙면도 예방책
출처: hanitweet - 🏆 12.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저 높은 곳 오르기 위한 근력·유연성·두뇌플레이 [ESC]커버스토리 실내·외 클라이밍‘인공 시설물’ 스포츠 클라이밍 대중화…MZ세대, SNS서 서핑·테니스보다 인기다양한 난이도 코스 푸는 볼더링 “힘보다 머리 잘 써야 하는 자신과의 대결” 자연 암벽등반 “무섭지만 매력적, 건강에 최고”…체력 소모 커 2~3일은 쉬어야
출처: hanitweet - 🏆 12.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게 가능하구나”…원숭이 2마리 세포 섞여있는 ‘키메라 원숭이’ 첫 탄생한 원숭이의 수정란에 다른 원숭이 배아줄기세포를 주입해 각종 장기는 물론 생식세포에까지 배아줄기세포(ESC)에서 유래한 세포가 섞여 있는 ‘키메라 원숭이’가 탄생했다. 10일 중국과학원(CAS) 신경과학연구소 류젠 교수팀은 과학 저널 ‘셀’(Cell)에서 수정 7일 된 시노몰구스 원숭이의 배반포기 배아줄기세포를 수정 4~5일 된 배아에 주입, 장기와 조직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학년 때 실습, 3학년 때 응용 신청' 대학강의도 진로 따라 AI 맞춤추천숭실대 메타시스템 내년 도입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시에 흠뻑 빠진 하루, 기형도 문학관에 다녀오다'살아 있으라, 모두 살아 있으라' 외친 시인 기형도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