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팔인들에 “일자리 주겠다”···알고 보니 ‘러-우 참전’ 인신매매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22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2%
  • Publisher: 51%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인도와 네팔인들이 해외 취업 구인 공고를 보고 지원했다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되는 사기 피해를 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인도 중앙수사국(CBI)은 8일(현지시간)...

인도와 네팔인들이 해외 취업 구인 공고를 보고 지원했다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되는 사기 피해를 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CBI는 이날까지 인도 청년 35명이 이들에게 속아 전쟁에 참전했으며, 최소 두 명이 전장에서 사망한 것으로 집계했다. 인도 외무부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러시아 정부에 강력히 항의했다고 전했다. 만구키야는 가족과의 통화에서 “생각한 일자리가 아니라 군사 훈련소를 거쳐 최전선으로 보내졌다”고 말했다. 지난달 말 갑자기 만구키야의 연락이 끊겼고, 가족들은 며칠 뒤 그가 우크라이나에서 미사일 공격으로 숨졌다는 통보를 받았다. 최근에는 7명의 인도인이 새해에 관광객으로 러시아를 방문했다가 붙잡혀 벨라루스로 이송돼 구금됐다고 주장하는 영상이 SNS에 올라오기도 했다. 이 영상에서 한 남성은 “경찰이 우리를 러시아 당국에 넘겼고, 이들은 우리에게 문서에 서명하도록 했다. 이제 그들은 우리에게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싸우라고 강요하고 있다”고 말했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바이든, 사상 초유의 대러제재 단행 … EU도 추가조치 준비러 돕는 500곳 이상 대상北·이란 등 제3국도 겨냥나발니 사망 일주일만에바이든, 美서 유가족 위로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떠나는 과학자의 탄식 '늦었어요, 망했습니다'[인터뷰] 물리천문학 전공 박찬 연구원 "R&D 예산 삭감으로 일자리 잃어, 기초과학 괴멸"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또 '입틀막', 얼마나 감추고 싶은 게 많기에 이러나[그 정보가 알고 싶다] 국민의힘 박성민 의원 발의 정보공개법 개정안, 청구인 알권리 위축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자리라더니 끌고 가'...우크라전 투입된 인도·네팔인 [지금이뉴스]인도와 네팔 남성들이 해외 일자리로 알고 지원했다가 러시아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되고 있다고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수십...
출처: YTN24 - 🏆 2. / 6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극심한 두통 시달린 50대 美 남성…뇌에 기생충 ‘꿈틀’, 원인 보니미국에서 두통에 시달린 한 미국 남성의 사연이 소개됐다. 그런데 두통의 원인이 덜 익힌 베이컨으로 전해져 현지에 충격을 주고 있다. 8일(현지시각) 미국 뉴욕포스트는 ‘미 사례 보고서 저널’(American Journal of Case Reports)에 50대 남성 A씨의 사례를 실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A씨는 4개월 동안 극심한 두통에 시달렸다. 그는 진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AI 저작권 침해’ 테스트해 보니…챗GPT-4 가장 심했다주요 인공지능(AI) 모델 중 저작권을 가장 심각하게 침해하는 것은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대규모언어모델(LLM) GPT-4라는 평가 결과가 나왔다. AI 모델 평가 스타트업인 미국 패트로너스AI는 6일(현지시간) 자체 솔루션을 통해 GPT-4(오픈AI), 클로드2(앤스로픽), 라마2(메타), 믹스트랄(미스트랄AI) 등 4개 LLM의 저작권 침해 정도를 분석했다. 정상조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일반 이용자들이 프롬프트를 입력했을 때 모든 결과물의 44%가 저작권 침해 가능성이 있다면 문제가 심각하지만, 의도를 가진 프롬프트에 따른 결과물로 저작권을 침해했다고 판단하기엔 섣부른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