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인구 절벽, 다문화가 미래다 [인구 절벽 시대, 다문화가 미래다]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59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7%
  • Publisher: 53%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중앙SUNDAY가 수파산과 샤하드 같은 이주배경학생 40여 명을 만났다. 전국 229개 시군구 가운데 이 비율이 10%를 넘긴 곳도 넷 중 하나 꼴인 56곳에 달한다.〈중앙일보 11월 7일자 1면〉 하지만 학생의 학업 중단률은 전체 평균보다 1.5배 높다. 양계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미 어릴 적에 다문화를 경험하고, 다중언어를 구사하는 탄탄한 기본기로 무장한 이들이 이주배경학생'이라며 '인구 절벽을 겪고 있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더욱 다져야 할 한국에게 소중한 미래 자산'이라고 밝혔다.

SPECIAL REPORT 지난 3일 서울 구로구 오류동에 위치한 대안학교 ‘지구촌학교’에 다니는 중학생들이 밝게 웃고 있다. 미국·미얀마·수단·시리아·중국 등 12개국에서 온 120여 명의 이주배경학생들이 이 학교에서 한국어와 합창·댄스·서예 등 다양한 수업을 듣는다. 최기웅 기자

미얀마 소수민족 카렌족인 수파산은 7년 전 난민 신청을 통해 우리나라에 왔다. 미얀마 정부의 핍박은 피했지만, 또 다른 압박이 있었다. 일반 중학교에 들어가자 아이들은 수파산의 어눌한 한국어를 흉내 냈고, 구릿빛 피부를 가리키며 “깜둥이”라고 불렀다. 10년 전 예멘에서 온 샤하드는 히잡을 쓴다. 같은 반 아이들은 “히잡 쓰면 물건을 잘 훔치더라”며 놀렸다. 다행히 한국어를 쉽게 따라 했다. 수파산과 달리 보통 4~7세인 언어 습득 적령기에서 한국어를 접했기 때문이다. 중앙SUNDAY가 수파산과 샤하드 같은 이주배경학생 40여 명을 만났다. 이주배경학생은 국제결혼 자녀 중 국내 태생과 중도입국한 자녀, 외국인 가정 자녀를 일컫는다. 다문화 학생과 같은 개념이다. 올해 18만 명을 넘었다. 2014년 기준 6만8000명, 전체 학생의 1.1%에 불과했던 다문화 학생은 올해 18만1000명으로 2.7배 늘었다. 나이가 어릴수록 비중은 커져 초등학생은 전체의 6%가 다문화다. 전국 229개 시군구 가운데 이 비율이 10%를 넘긴 곳도 넷 중 하나 꼴인 56곳에 달한다.〈중앙일보 11월 7일자 1면〉관련기사 이주배경학생의 학업 중단 이유로는 한국어가 꼽힌다. 중앙SUNDAY가 만난 40여 명 중 3분의 1에 가까운 12명이 한국어를 못해 취재가 어려울 정도였다. 이들이 미국과 중국뿐만 아니라 미얀마·수단·시리아·예멘·우크라이나·필리핀 등 다양한 국가에서 온 만큼 소통의 어려움도 폭이 컸다.

이주배경학생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학급의 수용률은 전체 교육 대상의 10.3%에 그치고 있다. 학교의 다문화언어 강사도 전국에 689명으로, 강사 한명이 이주배경학생 263명이나 맡는 셈이다. 양계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미 어릴 적에 다문화를 경험하고, 다중언어를 구사하는 탄탄한 기본기로 무장한 이들이 이주배경학생”이라며 “인구 절벽을 겪고 있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더욱 다져야 할 한국에게 소중한 미래 자산”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최근 이주배경학생을 우수 인재로 양성하기 위해 4년간 3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교육청,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한국어 교육을 강화하고 장학금을 신설해 매달 학비를 지원한다는 것이다.김홍준·신수민·원동욱 기자 rimrim@joongang.co.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글 배우고, 라마단 지키고” 수단서 온 와드의 ‘이중 생활’ [인구 절벽 시대, 다문화가 미래다]와드는 '가끔 언니들이랑 한국어로 얘기하면 엄마가 ‘나 욕하는 거지?’라며 장난 치신다'며 '요새 엄마가 결심하셨는지 다문화지원센터에서 주 2회 한국어 수업을 열심히 듣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출신 권선화씨도, 우즈베키스탄 출신 김알료(33)씨도 '애들이 한국말 잘 못 할까 봐 걱정이 커 이곳에 보냈다'며 한국어 수업을 마치는 아이를 기다리고 있었다. 권선화씨는 '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한 큰 애가 나름 학교에서 스트레스를 받았는지 ‘엄마는 한국어도 모르니까 한국 학교생활이 얼마나 힘든지 모른다’며 눈물을 뚝뚝 흘리더라'며 '충격을 받고 센터에서 남편과 한국어 공부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캄보디아 김연아’ 피아비 “한국, 뭐든 가능한 기회의 땅” [인구 절벽 시대, 다문화가 미래다]피아비는 '한국만큼 다 있는 곳이 없고, 그래서 안 하면 나만 손해'라며 '재능을 찾고 기회를 거머쥘 수 있는 곳'이라고 강조했다. 그녀는 '한국이 다문화인을 안 도와준다고 하는데, 자기 자신에게 못 이겨 환경 탓을 하고 있는 건 아닌지 되물어야 한다'며 '한국은 노력만 하면 기회는 열려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피아비 선수는 '인재가 되는 첫 시작은 자기가 무엇을 잘하는지 아는 것이고, 그래서 다문화 학생에게도 재능을 알아보고 도전할 기회가 많았으면 한다'면서 '한국에서 글로벌 인재가 많이 배출된다면 결국 국가 발전에도 이득 아닌가'라고 강조했다.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박철완의 마켓 나우] ‘e퓨얼 하이브리드’도 자동차의 미래다EU 자동차 업체가 그리는 가까운 미래 시장은 ‘내연기관 기반 e퓨얼 하이브리드’로 가득할지 모른다. 수소는 연료전지 전기차 같은 모터, 그리고 e퓨얼 기반 하이브리드 같은 엔진 쪽으로 개발될 것이다. 이차전지는 배터리 전기차 같은 모터와 e퓨얼 기반 하이브리드 같은 엔진 쪽으로 개발될 것이다. - 박철완의 마켓 나우,하이브리드,자동차,연료전지 전기차,배터리 전기차,폭스바겐,이중 e경로,e모빌리티,e퓨얼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기도 “서울편입은 김포에 손해”…김포시 “다 방안이 있다”경기도 “규제 강화되고 세수 감소될 것” 주장에 김포시장 “특별법 제정 시 조항 포함 방안 등 있어” 기업 이전 및 인구 확대로 세수 증가 기대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주주의랩 '위기의 시대, 담대한 전환' 11월 14~18일 개최노회찬재단, 세교연구소, 지리산포럼, 사회적협동조합 빠띠, 노무현재단 공동 주최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남석 헌재소장 퇴임…“존엄성, 자유와 평등 구현 고민했다”유남석 헌법재판소장이 “보편적 가치인 인간의 존엄성, 자유와 평등이 이 시대 이 땅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현해야 하는지...
출처: hanitweet - 🏆 12.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