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잡히는 가계대출…보름 새 8천억 늘었다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32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6%
  • Publisher: 51%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주요 은행의 가계대출이 이달에도 증가하며 보름 만에 8000억원 넘게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17일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은행의 9월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14일 기준 681조6216억원으로 8월 말보다 8096억원 늘었다. 중순 이후에도 추세가 계속되면 9월 가계대출 증가분은 8월 증가분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이 6176억원 증가했다. 주담대는 6월부터 8월까지 각각 1조7245억원, 1조4868억원, 2조1122억원 늘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9월 주담대 증가폭도 1조원대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국민은행은 지난 1일부터 50년 만기 상품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산정 기한을 최대 40년으로 줄였다. 우리은행도 13일부터 산정 기한을 40년으로 축소했고, 하나은행은 14일부터 50년 상품 판매를 중지했다. 이런 대출 한도 제한이 효과를 나타내면 9월 주담대 증가폭은 더 줄어들 수 있다. 반면 올 6월부터 8월까지 -7442억원, -2462억원, -2657억원을 기록했던 신용대출은 이달 중순까지 3445억원 증가했다. 남은 보름 동안 흐름이 계속되면 5대 은행의 신용대출은 2021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전월보다 증가하게 된다.금융권 관계자는 “부동산이나 주식 등 자산시장으로 자금이 이동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지난달 전체 은행권과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보다 각각 6조9000억원, 6조2000억원 증가했다. 은행권 증가폭은 2021년 7월 이후 2년1개월 만에 가장 컸다.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전월보다 6조원 넘게 늘어난 것은 2021년 10월 이후 처음이었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5대 은행 가계대출 보름 새 8천억↑…신용대출도 ‘꿈틀’최근 5대 은행에서 보름 새 가계대출이 8천억원 넘게 불어났다. 금융당국과 한국은행의 우려에도 가계대출 증가세가 꺾이지 ...
출처: hanitweet - 🏆 12.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가계대출 안잡히네 … 5대銀 보름 새 8천억 늘어신용대출, 22개월 만에 '들썩'전세금 반환대출도 심상찮아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5대 은행 가계대출 급증…보름새 또 8천억 넘게 늘었다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이번 달 들어 보름 만에 8000억원 넘게 늘었습니다.지난 5월 이후 다섯달 연속 오름세로, 지난달 1조59..
출처: JTBC_news - 🏆 3. / 6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5대 은행 가계대출 보름 만에 8000억 증가주요 은행의 가계대출이 이번 달에도 보름 만에 8000억원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년 동...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집값 오르기 전에 사자”…은행 뛰어간 서민들, 대출 8천억 늘었다신용대출, 22개월 만에 증가세 전환…3445억↑ ‘역전세’도 하반기 가계대출 뇌관 전세금반환용 대출 1월보다 57%↑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출산율 30년 새 반토막…1인 가구 비중 20년간 2배 늘었다우리나라 합계 출산율이 30년 전과 비교해 반토막 수준인 반면, 1인 가구 비중은 20년 동안 2배 이상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집에 따르면 국내 1인 가구는 2000년 225만 가구에서 2015년 523만 가구, 2021년 716만6000여 가구로 증가했다. 남성 1인 가구 비중은 25.2%로 약 4분의 1이지만 여성 1인 가구는 49.8%로 절반에 달한다.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