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말 시네필 세대의 추억, 봉준호를 만든 동아리 ‘노란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48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2%
  • Publisher: 53%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지난 27일 넷플릭스가 공개한 영화 ‘노란문:세기말 시네필 다이어리’는 연구소 노란문과 1990년대 초 시네필 문화를 조명한 다큐멘터리다. 이런 봉 감독의 영화 첫걸음에 대한 관심에서, 뉴욕타임스·인디와이어·할리우드리포터 등 외신들도 다큐를 주목했다. 이 감독은 영화 조감독·편집일을 주로 하다 지난해 개봉한 다큐 ‘미싱타는 여자들’에 이어 ‘노란문’이 두 번째 장편이다.

2000년대 들어 유수 국제영화제에서 각광받는 한국 감독들이 쏟아져 나왔다. 2020년 봉준호 감독은 영화 ‘기생충’으로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아카데미 시상식 4관왕을 차지했다. 도대체 한국영화에 무슨 일이 있었나. 외신들이 물을 때마다 봉 감독은 연세대 시절 활동한 영화연구소 ‘노란문’을 언급했다. 지난 27일 넷플릭스가 공개한 영화 ‘노란문:세기말 시네필 다이어리’는 연구소 노란문과 1990년대 초 시네필 문화를 조명한 다큐멘터리다. 영화 ‘노란문’의 이혁래 감독은 지난 24일 인터뷰에서 “아무도 모르게 잊힐 수 있었던 당시의 사소한 경험을 모으다 보니까 30년 만에 가치를 발견하게 됐다”고 했다.

“연출 분과라곤 하지만 콘티만 그리다 말았”고, 보고 싶은 작품을 어렵게 복제해 구한 노란문 비디오 목록을 집착에 가깝게 관리하며, ‘대부’ 같은 걸작들을 장면별 해부했던 “곱슬머리 덩치 큰 형” 봉준호가 오늘에 이른 것처럼 말이다. 1992년 서울대 미학과 1학년생이던 이 감독이 서울 마포구 서교동 노란문 공간에 찾아갔을 때 대학생 봉준호가 이러더란다. “볼펜으로 전지에 자로 잰 듯 가지런한 선을 긋다가 엄지손가락 냄새를 킁킁 맡더니 ‘왜 손톱 밑에서 똥냄새가 나지?’라더라고요. 인상적이고도 기괴했어요.”이런 봉 감독의 영화 첫걸음에 대한 관심에서, 뉴욕타임스·인디와이어·할리우드리포터 등 외신들도 다큐를 주목했다. 그러나 다큐의 주인공은 봉 감독보단 저화질 비디오를 경전처럼 돌려봤던 1990년대 시네필들이다.

1992년 노란문 송년회 때 공개한 봉 감독의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Looking for Paradise’는 그런 잡식성 속에서 탄생했다. 과외 아르바이트로 마련한 캠코더가 유일한 장비였다. 더러운 지하실에 갇힌 원숭이가 똥에서 나온 애벌레에게 쫓기며 지상낙원을 찾아가는 22분 길이 단편이다. 노란문과 가까웠던 배우 안내상·우현 등 당시 관객은 10명 남짓. 이후 DVD로만 묻혀있던 이 작품은 다큐 ‘노란문’에서 처음 대중에게 공개됐다. 봉 감독의 연출 데뷔작으로 지금껏 알려진 단편 ‘백색인’보다 2년 앞선 작품이다. 노란문은 30년 만에 멤버들이 다시 만난 자리에서 영화화가 추진됐다. 이달 초 부산국제영화제 최초 상영 때는 다큐 속 노란문 멤버 12명이 대부분 참석했다. 멤버들 중 봉 감독을 포함해 최종태·김형옥 등 4명이 영화를 만들며 살아간다. 이 감독은 영화 조감독·편집일을 주로 하다 지난해 개봉한 다큐 ‘미싱타는 여자들’에 이어 ‘노란문’이 두 번째 장편이다. 나원정 기자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낙원 찾아나선 원숭이…감독 봉준호 탄생시킨 ‘노란문' 세기말 시네필들다큐에서 노란문과 1990년대 초 시네필 문화를 조명한 이혁래 감독은 24일 인터뷰에서 '내가 이 영화를 만들 때 가졌던 태도가 봉 감독의 마지막 말에 있다'며 '지금의 한국영화가 이룬 것들에 대해 각자 나름의 원인을 찾을 수는 있다. 이런 봉 감독의 영화 첫걸음에 대한 관심에서, 뉴욕타임스‧인디와이어‧할리우드리포터 등 외신들도 다큐를 주목했다. 이 감독은 영화 조감독‧편집일을 주로 하다 지난해 개봉한 다큐 ‘미싱타는 여자들’에 이어 ‘노란문’이 두 번째 장편이다.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종이로 만든 초대형 ‘엑스’?…‘이상한 무인기’ 떴다몸집은 마을버스만 하지만, 무게는 등산용 배낭 한 개 수준에 불과한 특이한 무인기가 개발됐다...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정판 순식간에 팔려” 100년 넘은 호텔이 만든 위스키 봤더니국내 현존하는 최고(最古) 호텔서 미식여행 조선호텔 109주년 기념 한정판 위스키 제작 매월 프라이빗 위스키 클래스도 열려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종이로 만든 X자형 물체가 혼자 비행한다고?몸집은 마을버스만 하지만, 무게는 등산용 배낭 한 개 수준에 불과한 특이한 무인기가 개발됐다...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펜타닐 캡슐 4개면 돼요”…美 좀비거리 만든 중국소녀■ '전 세계 4분의 1 죽일 분량의 펜타닐 美 유입' 「 마약 중독과 거래 등에 대한 탐사보도 전문 저널리스트인 샘 퀴노네스는 '현재 미국은 국가 수준의 마약 중독 상태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또 ② 중국 정부는 펜타닐 원료의 불법 유출을 ‘의도적으로’ 방기해 미국 내 펜타닐 유통량을 늘리는 전략을 쓰고 있다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이 대만·인권 등을 문제삼아 중국에 대한 공세 강도를 높일 때마다 중국 정부는 자국의 펜타닐 원료 제조 공장에 대한 단속 고삐를 느슨하게 하는 방식으로 미국 내 펜타닐 유통을 늘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뱀 나오던 공간의 변신…전두환 때 만든 벙커에서 커피 마신다충북 청주시 상당구에 위치한 옛 대통령별장 청남대에서 과거 방호 초소로 사용하던 벙커(Bunker)가 초소형 미술관으로 변신했다. 김종기 청남대관리사업소장은 '그동안 벙커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 안에 물이 고이거나, 뱀이 출몰하기도 했다'며 '벙커 활용을 고민하다가 보초 시설을 예술 공간으로 바꿔보자는 의견이 나왔다'고 말했다. 헬기장 사면에 만든 벙커에서는 커피를 마실 수 있다.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