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개미는 왜 성공하기 어렵나... '야만인'으로 불린 이들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55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5%
  • Publisher: 51%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동학개미는 왜 성공하기 어렵나... '야만인'으로 불린 이들 주식투자 주가조작 지배구조개선 CFD 금융위원회

동학개미 붐으로 일컬어지는 투자 열풍이 불면서 한국의 주식투자 인구는 크게 늘어났다. 주식을 한 주라도 보유하고 있는 한국 국민은 2019년 말 610만 명에서 2022년 말 1441만 명으로 증가했다. 과거에도 주식투자 붐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농부들이 '땅 팔고, 소 판' 돈을 들고 증권사 객장으로 몰려들었다는 1980년대 후반 3저 호황 국면, 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 직후의 '바이 코리아 펀드'와 2008년 '인사이트 펀드' 열풍 때도 주식이라는 자산에 대한 한국인들의 집단적 몰입이 나타난 바 있다.

한편으론 동학개미 투자 붐을 거치면서 다수 국민이 주식이라는 자산에 대한 이해관계에 노출됐기 때문에, 총량적인 국부의 증식이라는 관점에서도 향후 주식시장의 향방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돈이 걸린 자본시장에서 규칙을 어기는 이들은 늘 있었지만, 이번에 주가조작으로 의심받고 있는 사례들은 과거에 적발됐던 작전과 많이 달랐다. 과거의 작전은 '소수'가 은밀하게, '가치가 없는 기업'의 주가를 '단기간'에 끌어올리고 빠져나가는 수법이 일반적이었다. 이번에 적발된 사례들은 '다수'의 계좌가 동원됐고, 누가 봐도 '저평가돼 있는 기업'의 주가를, '장기간'에 걸쳐 끌어올렸다.

CFD 말고도 레버리지 효과를 볼 수 있는 투자 방법은 많다. 증권사로부터 돈을 빌리는 신용 거래가 있고, 개별 종목에 대한 선물·옵션 등의 파생상품 투자도 가능하다. 필자는 돈을 빌려서 투자하는 행태나, 레버리지를 높인 파생상품 투자는 득보다 실이 많다는 입장이지만, 투자자의 선택으로 레버리지를 활용할 수 있는 전통적 투자 방법들이 존재하고 있음에도 CFD라는 제도가 굳이 필요한가라는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다. 주식투자가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기업을 실제로 운영하는 임직원들이 기업의 소유주인 주주들의 부를 잘 지켜줘야 한다. 상장된 회사들은 주요 경영사항을 외부에 알려야 할 공시 의무가 있는데, 공시는 경영진에 대한 주주들의 감시 제도에 다름 아니다. 회사의 중요한 일을 감추지 말고, 기업의 주인인 주주나, 투자를 고려하고 있는 예비 주주들에게 투명하게 알리라는 것이 공시제도의 목적인 것이다.

오너 일가의 지분율이 낮은 상황에서 배당을 늘리면 지배주주 이외의 다수 주주들에게 배당 지급액의 상당 부분이 흘러 들어가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재벌 기업들은 배당을 늘리기보다, 오너 일가의 지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비상장 계열사를 만들어 부를 이전시켰다. '일감 몰아주기 금지' 법안이 만들어지면서 이런 불공정 거래는 많이 사라졌지만, 여전히 기업 분할 등에서 지배주주와 소액주주의 이해관계가 충돌하고 있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6.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070→010으로”…보이스피싱 번호 조작한 일당 무더기 검거중국 보이스피싱 조직이 사용하는 인터넷 전화번호 앞자리를 ‘070’에서 ‘010’으로 바꿔주는 등 범행에 가담...
출처: KBSnews - 🏆 21.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날씨] 전국 소나기, 시간당 30~60mm 강하게 내려‥무더위 기승서울은 구름 사이로 햇살이 비춰들고 있지만 경기 북부 지역은 여전히 정체전선의 영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들 지역으로는 호우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시간당 40에서 60mm의 안팎의...
출처: mbcnews - 🏆 5. / 6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여름 '콜록콜록'…코로나19 확산 속 독감 유행여름인데도 요즘 감기에 걸린 사람들이 많습니다. 독감이 전보다 크게 유행하고 있고 코로나19 확진자도 한 달째 늘고 있는데, 왜 그런 건지 신용식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출처: SBS8news - 🏆 4. / 6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5㎝ 기적' 불상 넘어진 시기는…987년 전 지진과의 관련성 주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이른바 '5㎝의 기적'으로 불리는 경주 남산 열암곡 마애불상이 넘어졌으리라 추정하는 시기가 기존 연구보다 앞설...
출처: yonhaptweet - 🏆 17.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다음 파격 댓글서비스 '타임톡' 시행했더니…'이용자 참여 증가'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포털 다음(DAUM)이 기존 뉴스 댓글 서비스를 실시간 채팅 방식인 '타임톡'으로 변경한 이후 그간 댓글 창을...
출처: yonhaptweet - 🏆 17.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