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In] 일본은 왜 '싸구려 나라' 됐나…'나쁜 엔저'로 경제 휘청 | 연합뉴스

  • 📰 yonhaptweet
  • ⏱ Reading Time:
  • 51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4%
  • Publisher: 51%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이슈 In] 일본은 왜 '싸구려 나라' 됐나…'나쁜 엔저'로 경제 휘청

정열 기자=미국 달러, 스위스 프랑 등과 함께 안전자산의 대명사로 꼽히던 엔화 가치가 6년여 만에 최저치로 떨어지면서 일본 경제가 휘청이고 있다.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원유와 곡물 등 각종 원자재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은 상황에서 심화한 엔저 현상은 일본의 무역수지 악화와 물가 상승세를 부채질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일본 내에서는 엔저 현상이 고착화하면서 빅맥 지수 등 달러화로 환산한 각종 생활물가가 개발도상국보다도 싸지는 등 일본이 '싸구려 나라'가 됐다는 자조적인 평가마저 나온다.엔화 가치가 6년 7개월 만에 최저 수준까지 떨어진 이틀 전보다는 다소 진정됐지만, 연초 엔·달러 환율이 110엔대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여전히 약세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그동안 엔화는 미 달러화나 금 등과 함께 위기 상황일수록 가치가 올라가는 안전자산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은 사정이 달라졌다. 미국 등 주요국과의 통상마찰로 홍역을 치렀던 일본 기업들은 각종 무역장벽과 환율 변수 등을 피하기 위해 1990년대부터 생산시설 해외이전을 적극 추진했다.현지 생산을 하게 되면 해당국 정부로부터 각종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고 환율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반면 엔저로 인한 수출경쟁력 상승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워진다.일본 언론들은 엔저가 진행되면 일본 기업의 수출이 증가해 실적이 좋아지고 이런 기대감 때문에 주가가 오른다는 통설이 깨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나쁜 엔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가라카마 다이스케 미즈호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는"일본 기업의 생산공장이 대거 해외로 이전하면서 엔저에 따른 혜택은 모호해진 반면 불리한 점은 뚜렷해졌다"며" 구매력 저하는 일본 경제를 냉각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기노시타 도모오 인베스코운용 전략가는"엔저가 장기 추세로 자리 잡으면서 해외로 간 기업들이 번 돈을 일본으로 송금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닛케이아시아는 점점 더 많은 자동차와 다른 상품들이 판매되는 시장에서 생산되면서 엔저로 인한 수출경쟁력 상승효과는 약화한 반면 원유 등 원자재의 수입 물가는 높아지면서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전했다.일본의 2월 무역수지는 6천682억엔 적자를 기록했다. 국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기 시작한 지난해 8월부터 7개월 연속 적자 행진이다.◇ 日 빅맥 지수, 태국보다 낮아…'물가 비싼 나라'는 옛말매년 전 세계 주요 도시 생활물가를 조사해 발표하는 미국 컨설팅업체 머서의 2012년 조사에서도 도쿄가 스위스 제네바, 노르웨이 오슬로, 미국 뉴욕 등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생활비가 비싼 도시로 선정된 바 있다.'잃어버린 20년'이라 불리는 장기 침체로 일본 경제는 성장이 멈추다시피 했고, 1인당 국내총생산과 물가수준을 반영한 구매력평가 지수 등의 글로벌 순위도 계속 뒷걸음질 쳤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언론은 씰데없이..일본을 펌하 하지마라, 일전..서방의 약육강식으로 세계가 침탈 당할때..어깨를 나란히 힘을 겨루었던 유일한 동양의 나라였다, 일본이 독도만 탐하지 않으면..친한 이웃국가가 될수 있으련만..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7.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월드&포토] 멈춰선 인구 2천500만의 상하이 | 연합뉴스(상하이=연합뉴스) 차대운 특파원=인구 2천500만의 초거대 도시이자 중국의 '경제수도'로 불리는 상하이가 멈춰 섰습니다.
출처: yonhaptweet - 🏆 17.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우크라 사태 이어 높아지는 대외 파고…불확실성 커지는 경제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문성 기자='세 가지 리스크(위험 요인)가 모두 실현됐다.' 이게 다 남의 땅에 전쟁 벌여서 먹고사는 세계평화 악의 축 미국 때문이다 미국의 전쟁 목표는 '세계 경제 정복' [전쟁국가 미국·2강-①] 2차 대전과 '좋은 전쟁'이라는 신화
출처: yonhaptweet - 🏆 17.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에 울었던 벤투, 태극전사 이끌고 조국 겨냥 '얄궂은 운명'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배진남 기자=파울루 벤투(53·포르투갈) 한국 축구대표팀 감독에게 '운명의 장난' 같은 순간이 찾아왔다.
출처: yonhaptweet - 🏆 17.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보] 한국축구, 카타르월드컵서 포르투갈·우루과이·가나와 한 조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배진남 기자=한국 축구대표팀이 2022 국제축구연맹(FIFA) 카타르 월드컵에서 포르투갈, 우루과이, 가나와 16강 진출을... 카타르월드컵 16강이 보인다 승점 5점으로 ~~~
출처: yonhaptweet - 🏆 17.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경제, 팬데믹 이전 회복…재택근무↓, 레저·관광 일자리↑ | 연합뉴스(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정성호 특파원=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대확산이 수그러들면서 경제가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출처: yonhaptweet - 🏆 17.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