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파일] 어떤 직업이 살아남을까?

  • 📰 SBS8news
  • ⏱ Reading Time:
  • 39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9%
  • Publisher: 63%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취재파일] 어떤 직업이 살아남을까? SBS뉴스

지난해 코로나19를 겪으면서 미래팀에서 가장 관심을 가졌던 사안 가운데 하나가 경제 이슈, 일자리의 변화였습니다. 그래서 SDF2020에서도 베인앤드컴퍼니의 파트너들이 연사인 세션을 통해 '코로나 이후 기업들의 눈에 띄는 변화'를 물었습니다. 지난 10월 말 이후엔 세계경제포럼 WEF과 시장조사기관 가트너, MIT까지 관련 보고서들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글에선 그 가운데 일부 내용을 인용해 일자리의 미래를 다뤄보려고 합니다.

- 이 같은 분화로 인해 고용주들은 직원들이 미래 업무 능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직원들의 '기술 재교육'과 '기술능력 제고'에 상당한 투자를 해야 한다. 고용주의 절반은 앞으로 5년간 직원 재교육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 인공지능, 콘텐츠 생산, 아동·노인을 대상으로 한 '돌봄 경제' 분야 등도 새 일자리를 공급하게 될 산업 분야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반면 자료 입력, 회계, 행정 보조 업무는 줄어드는 추세이다.- 향후 5년 안에 인간과 기계의 노동 시간이 같아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인간이 기계에 점점 일을 내주는 이런 '역전' 흐름은 자동화를 촉진하는 기술이 발전하는 데다 코로나19 대유행이 겹치면서 가속화될 것이다.

- 변화하는 근무 환경에 따라 많은 기업들은 직원들에게 새로운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세계경제포럼이 조사한 291개 기업 중 94%는 현재 일하고 있는 직원들이 시대에 맞춰 새로운 역량을 개발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는 2018년 당시의 65%에서 30%p 가량 급등한 수치다. 세계경제포럼의 보고서에서는 특히 AI 기술이 적절한 규제나 감독 없이 맹렬한 속도로 발전하는 상황을 꼬집었습니다. 세계경제포럼은"수천만 노동자들을 재교육 시킬 체계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채 첨단기술을 받아들이고 있다."며"이러한 추세에 신중하게 대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솔루션."이라고 짚었습니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