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잇] 틱톡의 문법

  • 📰 SBS8news
  • ⏱ Reading Time:
  • 40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9%
  • Publisher: 63%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인-잇] 틱톡의 문법 SBS뉴스

나는 20년 넘게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해온 나름 꼰대로 불릴만한 경력을 갖고 있다. 그중 5년여는 뉴미디어 분야에서 비디오머그 같은 디지털 영상 콘텐츠도 만들었다. 글이 아닌 영상에도 문법이란 게 있고 방송 프로그램이란 뉴스든 다큐든 드라마든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법칙 또는 규칙이 있다고 생각한다. 문법이란 말 자체가 법을 가리키는 것이고 법은 기본적으로 지키자고 있는 것일 터이다.

그런데 방송 뉴스나 영상 콘텐츠를 보면서 안타까울 때가 있다. 기본적인 방송의 문법, 영상의 문법 같은 '장르의 법칙'에 무신경한 화면이 나갈 때가 그렇다. 방송기자라도 방점은 기자에 찍히다 보니 아무래도 영상에는 상대적으로 신경을 덜 쓸 수밖에 없을 거라 이해는 하면서도 기본적인 장르의 법칙이 전수는 되고 있는지 궁금하고 에디터십과 데스킹은 왜 발휘되지 않는지 -그건 텍스트뿐 아니라 영상편집, 그래픽, 출연자의 의상이나 스탠드 업 배경 같은 아주 사소한 것에 이르기까지다- 아쉬울 때가 많다. 그런데 한참 경력 차이가 나는 젊은 후배들이 틱톡으로 뉴스 라이브를 하는 걸 보면서 다른 방향으로 생각이 가지를 쳤다. 90년대생 디지털 네이티브로서 그들은 1020세대의 영상 문법이랄까 소통 문법이랄까 하는 것을 '체득'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그것은 단순히 프리젠테이션의 자연스러움을 넘어 표정, 작은 몸짓, 소품 하나하나가 그러하였다. 뤼미에르 형제가 백여 년 전 파리에서 영화의 시초쯤 되는 '열차의 도착'을 상영했을 때 관객들이 스크린에서 플랫폼에 들어오는 기차를 실제 상황으로 착각하면서 난리가 났다고 한다. 인류가 동영상의 문법을 처음 맞닥뜨린 순간이었을 거다. 미국의 D.W.

엄청난 비용을 들여야 영상콘텐츠를 만들던 시대가 가고 있다. 저비용의 적정 기술이 만개한 영상의 시대가 오면서 영상 문법도 바뀌고 갱신되고 있다. 그것은 이제 텍스트 내러티브에도 영향을 미칠지 모른다.[인-잇] 우리는 36년 뒤에도 정은경을 볼 수 있을까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인-잇] 국회 누비는 안내견, 세상이 바뀌긴 했네요국회에 동물복지 국회포럼이라는 단체가 있다. 국회 차원에서 동물보호복지 논의를 이끌어가는 국회의원 연구단체로 5년 전에 창립되어 현역 국회의원 50여 명이 참여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동물복지국회포럼 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인데, 5년 전인 지난 2015년 7월 창립식에 가서 충격을 받은 경험이 있다. AI로봇이더나은데 가격이문제? ㅎㅎ
출처: SBS8news - 🏆 4. / 6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공정위, 고객 돈 등쳐먹는 상조회사에 칼 겨눈다공정위는 최근 인수·합병을 했거나 인수·합병 예정인 상조회사를 상대로 선수금 보전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출처: hanitweet - 🏆 12.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