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 새로운 위험사회 재해석의 착각과 위험성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5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5%
  • Publisher: 51%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미래의 불확실성은 과거로부터 찾아야 한다. 지난 몇년 새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와 기후위기 ...

미래의 불확실성은 과거로부터 찾아야 한다. 지난 몇년 새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와 기후위기 문제는 사회·경제만이 아니라 삶의 양식 전반을 변화시켰다. 게다가 인구구조 변화부터 플랫폼 경제, 디지털 기술과 접목된 챗GPT를 둘러싼 논쟁은 현재 진행형이다. 아마도 유럽연합 회원국들이 직면했던 이민과 이주노동을 둘러싼 갈등도 현실화할 것 같다. 재앙이나 사건·사고를 접하는 시각이나 해법은 이해관계에 따라 갈등적이다. 특히 지난 1년6개월 보수정부 시기의 모습은 더 그렇다. 윤석열 정부는 ‘약자복지’를, 오세훈 서울시장은 ‘약자동행’을 새로운 사회적 위험의 대처 방향으로 강조한다. 보수의 가치 프레임이 새롭게 변화했다. 선별적 복지나 능력주의와 다른 새로운 대중언어로의 탈바꿈이다.일부 논자들은 “우리 사회의 위험을 새롭게 정의하고 과거의 방식에서 탈피한 대응방안”을 언급한다. 이들은 빈곤, 실업, 노령, 질병, 장애, 사망, 폭력 등을 전통적 위험으로 치부한다.

게다가 지난 수십년 동안 사회적 위험에 대처하기 위한 제도와 시스템은 규제로 격하한다. 또한 시민사회와 함께 사회적 성찰이 필요함에도 이해 당사자들과의 소통은 찾아볼 수도 없다. 오히려 기존의 거버넌스조차 파편화시켰다. 개념의 재검토가 아니라 무개념과 몰이해로 봐야 한다. 주요 국정과제와 예산을 꼼꼼히 살펴보면 사회·경제적 불평등이나 구조적 차별은 구시대적 유물로 취급한다. 명시적으로 기존의 약자 지원을 끊거나 사각지대 문제를 도외시하지는 않겠다고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다. 대표적으로 최저임금 역대 최저 인상이나 영세사업장 저임금 노동자 사회보험은 물론 장애인 저상버스 도입 예산을 대폭 삭감했다. 보편적 복지 대신 가장 취약한 계층을 두껍게 보호한다는 ‘두꺼운 복지’의 허상이다.

우리는 과거로부터 배워야 한다. 30여년 전 새로운 사회현상을 조명한 한 권의 책은 우리에게 어떤 시사점을 줄까. 울리히 벡의 가 출간된 지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배울 점이 많다. 벡은 과거의 자연재해나 지나친 과학이나 기술의 위험을 지적했다. 나아가 그로 인한 불안 증대로의 사회현상을 전망했다. 그러나 주위를 둘러보면 현실이 꼭 그렇지는 않았다. 국가와 사회가 생산과 이윤 중심의 논리에만 맡겨두었을까. 오히려 사회·경제 시스템과 삶의 양식이 변화함에 따라 적절한 개입과 규제가 있었다. 지난 100년의 경험을 보면 국가와 사회는 무한경쟁의 시장 자율에만 맡겨 놓지 않았다. 지나친 과학·기술발전의 폐해는 물론 급속한 산업구조 개편 과정이 초래한 문제점에 개입하고 통제했다.

무릇 국가는 사회안전망으로부터 배제된 취약계층을 위해 어떤 정책이 필요한지 성찰해야 한다. 코로나19 시기 제기된 아프면 쉴 권리나 전 국민고용보험, 보건의료·돌봄 등 필수노동자 문제 등 어느 하나 제대로 진척된 것이 없다. 특히 바이러스나 기후위기에 차별이 아닌 평등한 정책은 더 필요하다. 이제라도 ‘허용할 수 없는 위험’과 ‘허용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해 시민사회와 함께 논의해야 한다. 과거의 위험을 터부시하고 새로운 위험만을 찾는 것은 큰 사회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대통령의 노기를 어찌할 것인가[세상읽기] 김종대 | 연세대 통일연구원 객원교수 윤석열 대통령이 임종득 국가안보실 2차장과 임기훈 국방비서관을 교체한...
출처: hanitweet - 🏆 12.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슬의생' 신원호 PD '좋은 사람들, 판타지로 여겨 슬펐다'처음부터 주 1회 방송과 시즌제 형식을 염두에 두고 만든 덕분에 시간은 다소 걸렸지만 올 연말 시즌 2 촬영을 시작해 내년 새로운 계절에 돌아온다는 계획이다.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팩플] a16z∙삼성∙방시혁이 700억 꽂았다…33세 韓연쇄창업자의 ‘블록체인 IP’ 혁신스토리 프로토콜은 ‘스토리 저작권’의 새로운 관리∙활용∙보상 규칙을 블록체인 기술로 재정의하겠다는 회사다. 이승윤 대표는 '생성 AI로 창작 활동이 더 풍부해지고 있는 지금, 블록체인 기술로 IP 출처를 투명하게 추적하고 공정하게 수익을 배분할 수 있다'라며 '크리에이터에게 새로운 기회를, 기존 IP 보유자에게는 이용자 참여를 유도해 IP를 발전시킬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겠다'라고 말했다. AI가 그 기술 자체보다도 AI 추천·챗봇 등 대중이 반응하는 시장을 찾아낸 이후 투자가 집중된 것처럼, 블록체인 기술도 기존 산업에 녹아 들어 IP 시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걸 입증하겠다는 의미다.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a16z가 700억 꽂았다, 33세 한국인 ‘블록체인 혁신’스토리 프로토콜은 ‘스토리 저작권’의 새로운 관리·활용·보상 규칙을 블록체인 기술로 재정의하겠다는 회사다. 회사는 '스토리를 캐릭터·관계·스토리라인 등으로 레고처럼 쪼개 그 저작권을 블록체인 시스템에 등록하고, 팬이나 2차 창작자들이 이에 기반한 속편이나 새로운 스토리를 자신의 IP로 추가 등록할 수 있으며, 이를 새로운 상업적 창작물로 만들면 수익 배분도 가능한 구조'라고 설명했다. 제이슨 자오 스토리 프로토콜 공동창업자는 5일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스토리 프로토콜을 통해 팬들에게 IP 개발에 참여할 실질적인 인센티브를 준다면, 콘텐트 확장 효과는 놀랍도록 커질 것'이라며 '개발자, 기업, 개인들이 테스트할 수 있는 공개 버전을 내년 상반기에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소연의 시인이 사랑한 단어] 나희덕, ‘배후’누구보다 다정하고 단호하게 인류의 현실을 다루어온 나희덕 시인은, 시대가 바뀌고 인류의 쟁점이 바뀔 때마다 부지런히 그 한가운데로 헤엄쳐 들어갔다. 시인에겐 언제나 ‘새로운 배후가 생겼다.’(시집 『파일명 서정시』) 시대의 쟁점과 열망이 신체화하는 시인의 사명을 두고 시인은 이렇게 표현한다. ‘어느 날 귓바퀴를 타고 들어와/ 잠복 중인 발소리// 새로운 배후가 생긴 뒤로/ 한순간도 멈추지 않고 귀가 운다/ 피 흘린다.’ 귓속으로 들어와 버린 배후의 발자국 소리에 귀를 내어놓는 시인.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대통령 '한일중 정상회의 등 3국 협력 매캐니즘 재개 위해 소통'윤 대통령은 이날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컨벤션센터(JCC)에서 열린 ‘아세안+3 정상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아세안+3 발전의 근간이 되는 한국, 일본, 중국 3국 협력이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특히 '이른 시일 내에 한일중 정상회의를 비롯한 3국 간 협력 메커니즘을 재개하기 위해 일본, 중국 정부와 긴밀히 소통해 가고자 한다'며 '최근 한일 관계 개선을 통해 한미일 3국 협력의 새로운 장이 열렸듯이 한국, 일본, 중국 3국 협력의 활성화는 아세안+3 협력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아세안+3가 함께 힘을 모은다면 아세안은 물론, 인도 태평양 지역과 전 세계의 자유, 평화, 번영에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