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의 기억] 사진의 선한 영향력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31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6%
  • Publisher: 53%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지나간 시절이 남긴 생채기이거나 아직도 흘리고 있는 누액처럼 보이는 그것들은, 태백에 사는 사진가 박노철의 시선을 아프게 했다. 오늘 태백의 자연이 자연스러울 수 있게 된 시작점에, 박노철의 사진 시리즈 ‘폐광, 흔적에 길을 묻다’가 있는 것이다. 사진의 선한 영향력을 이야기할 때면, 누가 시킨 것도 아닌데 애타는 눈으로 혼자 사진기를 들고 폐광터를 돌아다닌 한 사진가와 그가 남긴 저 ‘에메랄드빛 실개천’이 떠오른다.

배추 수확이 한창이다. 경사지에 돌담을 쌓아 만든 밭은 강원도 산간마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비탈밭이다. 트럭의 번호판을 확인하지 않아도 우리나라가 틀림없다. 그런데 배추밭과 나란히 흐르는 실개천의 물색이 수상하다. 합성이라도 한 것처럼, 눈에 선 에메랄드빛이다.광업소들이 문을 닫은 뒤, 비어버린 폐광 터에서 묵묵히 일한 것은 자연이었다. 사람들이 떠나간 빈자리를 보듬어 안고 나무와 풀, 꽃을 키우면서 어느새 ‘자연스러운’ 풍경을 이루었다. 그런데 그 자연스러운 산과 숲 사이로 자연의 색이라고 하기엔 지나치게 희거나 창백한 푸른 물이 흐르고, 붉은 물이 고이기 시작했다. 남겨진 폐광들에서 비롯된 백화현상과 황변현상 때문이었다.

지나간 시절이 남긴 생채기이거나 아직도 흘리고 있는 누액처럼 보이는 그것들은, 태백에 사는 사진가 박노철의 시선을 아프게 했다. 박노철은 수년 동안 태백 곳곳에 폐광 흔적들을 찾아다니며, 아무도 주목하지 않던 그 생채기를, 누액을 사진으로 기록했다. 자연이 그랬듯 묵묵하고 꾸준하게. 사진가이기 이전에 태백에 사는 지역민의 한 사람으로 그 땅의 현재와 미래에 애가 탔기 때문이다. 박노철의 사진을 본 많은 이들이 태백의 불편한 진실을 마주했다. 자연 스스로 자정하는 데는 백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했다. 폐광지의 자연을 되살려내야 한다는 움직임이 일었고, 태백 땅 곳곳에 정화시설들을 세우는 작업이 시작됐다. 오늘 태백의 자연이 자연스러울 수 있게 된 시작점에, 박노철의 사진 시리즈 ‘폐광, 흔적에 길을 묻다’가 있는 것이다.

사진의 선한 영향력을 이야기할 때면, 누가 시킨 것도 아닌데 애타는 눈으로 혼자 사진기를 들고 폐광터를 돌아다닌 한 사진가와 그가 남긴 저 ‘에메랄드빛 실개천’이 떠오른다. 다음 세대까지도 가동이 이어져야한다는 정화시설들처럼, 박노철은 아직 채 정화되지 않고 남은 ‘흔적’들을 쫓아 우리가 나아갈 ‘길을 묻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AI코치가 쪽집게 ‘면접 과외’ 해드립니다”[판교 창업존 입주기업 인터뷰 ③] 박경호 에이블제이(ABLE.J) 대표 AI 면접 코칭 솔루션으로 HR 시장 정조준 취업 전문 AI 솔루션 개발로 영향력 확대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반세기, 기록의 기억] (89) 독도 촛대바위50년 전 사진을 동일한 위치에서 다시 찍는 게 생각보다 쉽지 않다. 과거에는 없었던 나무와 ...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년부터 고강도 걷기 운동하면 알츠하이머병 예방노인성 치매(알츠하이머병)는 고령인에게서 가장 흔한 신경 퇴행성 질환의 하나다. 알츠하이머병 치매 초기에는 특히 삽화 기억 손상이 주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으며 현재까지 증상개선제 외에 뚜렷한 치료제가 없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알츠하이머병은 현재까지 치료보다는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한 예방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중년 이후 고강도
출처: hankookilbo - 🏆 9. / 59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나는 솔로' 상철, 정치유튜버였다…'정치 성향이 부끄러울 일이냐'논란이 커지자 상철은 같은 날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시끄러운 게 싫었고 왜 정치 성향이 부끄러워해야 할 일인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어 일단 (논란을) 모르쇠 했는데 지금 그 문제의 채널에 대해 말씀드리겠다'며 사실상 ‘폭렬리뷰’가 자신이 맞다고 인정했다. 그는 '저는 미국의 소위 무당층으로 분류되는 사람으로서 좌우 어디도 몸 둘 수 없던 사람인데, 과거 트럼프가 당선됨과 동시에 그의 정권이 좌우를 아우르는 시각을 대변하고, 그것을 미국이라는 영향력 있는 나라의 실정치에 실현시킬 기회가 생긴 것 같아 뭔가 가슴이 벅찼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정권때 실험적으로 그때 그때의 생각을 기록하는 형식으로, 스탠드업 코미디처럼 풍자적 과장을 통한 하나의 인터넷 페르소나를 설정해 복잡한 생각들을 유머스럽고 도발적으로 표현한 것'이라며 '제가 공유한 생각을 이런저런 이유로 비판을 하시는데, 영상 하나 하나 종교건 사회 이슈이건 자연현상이건 어떤 토픽이건 정말 깊이 파고 그것을 풍자적으로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진의 기억] 장돌뱅이와 완행열차가을볕이 따가운 장터에서 하루종일 땀을 흘린 장돌뱅이 할아버지의 어깨에 멘 짐이 가벼우면 집으로 돌아가는 발길도 덩달아 가볍다. 기차표를 망건에 꽂은 할아버지가 역에 들어서자 때맞추어 할아버지를 집으로 데려다줄 호남선 완행열차가 기적을 울리며 플랫폼으로 들어오고 있었다. 늘 떠나고 돌아오는 장꾼의 삶처럼 완행열차도 한곳에 오래 머무르지 않고, 또한 크든 작든 장이 서는 곳마다 빼놓지 않고 찾아다니는 장꾼처럼 아무리 작은 역이라도 그냥 지나치지 않는다.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영상] 인증샷 찍으려 피렌체 16세기 넵튠 분수 조형물 올라타…'무거운 벌금'남성이 넵튠 분수대에 올라가는 모습과 그가 남긴 인증샷. 〈사진=다리오 나르델라 피렌체 시장 트위터〉 한 독일 관광객이 이탈리..
출처: JTBC_news - 🏆 3. / 6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