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춘추] 차이를 아는 것의 힘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5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5%
  • Publisher: 51%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이전 회사에서 점잖고 말솜씨 좋기로 유명한 인사부 임원이 심각한 얼굴로 필자를 찾아와 고민을 털어놓았다. 그는 필자의 팀에 있는 신입 직원 얘기를 꺼내며 '점심 식사를 함께하는 동안 몹시 불편해 보였는데, 혹시 실수한 것이 있는지 물어봐달라'고 부탁했다. 그는 다른 어떤 높은 분과의 식사보다 더 불편했던 자리였다며, 신입 직원이 고개를 푹 파묻고 질문에 한..

이전 회사에서 점잖고 말솜씨 좋기로 유명한 인사부 임원이 심각한 얼굴로 필자를 찾아와 고민을 털어놓았다. 그는 필자의 팀에 있는 신입 직원 얘기를 꺼내며"점심 식사를 함께하는 동안 몹시 불편해 보였는데, 혹시 실수한 것이 있는지 물어봐달라"고 부탁했다. 그는 다른 어떤 높은 분과의 식사보다 더 불편했던 자리였다며, 신입 직원이 고개를 푹 파묻고 질문에 한두 단어로만 답할 뿐, 단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고 토로했다. 추후 그 직원은 점심시간은 휴게 시간이므로 회사 임원과 점심을 먹을 의무가 없고, 전할 말씀이 있다면 같은 레벨의 임원인 필자를 통해서 말을 전달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날 이후 필자는 세대 차이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고민하기 시작했고, '자신에게 당연한 가치나 생각이 다른 사람에게도 당연한 것이 아니다'는 원칙을 늘 염두에 두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필자처럼 디지털 플랫폼이나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이라면 밀레니얼은 물론이요, Z세대 더 나아가서는 알파세대까지도 이해하려는 노력이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트렌드를 반영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핵심 인력으로 떠오르는 MZ세대는 기존 세대와는 다른 가치관과 업무 형태를 선호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일례로 대기업에서도 높은 연봉보다 정시 퇴근이 더 중요하다는 직원들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고 한다.

이를 위해 필자의 회사에서는 서로 다른 세대, 직급으로 구성된 임직원이 자발적으로 다양성위원회를 구성해 조직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여러 활동을 직접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다양성위원회는 그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만날 수 없었던 서로의 얼굴을 익히기 위한 프로필 사진을 촬영하거나 마음 지키기 정신 건강 세션과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외부 강사 초청 강연을 열고, 효과적인 회의 문화 캠페인 등 여러 활동을 진행했다. 이 결과 필자의 회사는 다양성위원회가 설립된 지 2년 만인 2023년, 세계적 기업문화 조사기관인 GPTW가 인증한 '2023 한국에서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에 선정됐을 뿐만 아니라 인권경영 부문과 '밀레니얼이 일하기 좋은 기업'에까지 추가로 선정되는 영광을 이룰 수 있었다.

'원한다면' 언제든 더 전문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고 정보가 너무나도 빠르게 변하는 오늘날, '구하지 않은 조언'이 직장에서 가장 조심해야 하는 행동 중 하나가 됐다. 내가 생각하는 '도움'이 상대방에게는 어떠한 가치도 주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는 이러한 차이를 기억하고, 다양한 사람에게서 다양한 의견을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문화를 갖는 기업이 더 좋은 인재를 유치할 수 있는 일하기 좋은 기업으로 기억되지 않을까 한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5.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놀랐어요, 개 목줄 좀 해주실래요?' 하자 돌아온 반응늘어나는 반려동물 시대... 함께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를 생각한다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자장면 - 매일경제지금은 흔한 음식이지만 한때 자장면은 졸업식 날에나 먹을 수 있는 특별한 음식이었다. 졸업식이 끝나면 온 가족이 자장면을 먹던 시절이 있었다. 졸업식 후에 무조건 중국집으로 가는 것이 당연시돼 자장면을 먹어야 졸업식이 끝난 것 같았다. 그날은 중국집이 졸업생과 가족들로 만원이었다. 어린 시절 엄마는 내게 중국집에 가 자장된장을 사오라고 하셨다. 뚜껑 있는 ..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새로운 출발을 위하여지난달 많은 대학 졸업식에서 졸업생의 새로운 출발을 축하하고 당부하는 축사가 있었다. 화제는 단연 가수 이효리의 국민대 연설이었다. 그는 인생은 홀로 가는 것이니 자신을 믿고 자기의 길을 걸으라고 강조하며 노래와 춤으로 연설을 마무리했다. 연예계의 기존 공식을 따르지 않았던 자신의 스타일로 강한 인상을 남겼다. '초심을 잃지 말고 우직하게 나가라(Stay ..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벤처는 봄꽃이다 - 매일경제우리는 여기저기서 꽃이 피었다는 소식이 들려올 때 비로소 봄이 왔음을 느낀다. 식물이 꽃을 피우는 이유는 무엇일까. 가장 현실적인 답은 번식을 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꽃이 피는 시기를 생각하면 그리 간단히 생각할 문제는 아닌 듯하다. 봄꽃이 아름다운 이유는 잎이 없기 때문이라고 읽은 적이 있다. 잎이 무성해야 할 자리를 꽃이 차지하고 있어서 더 풍성하고 화..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공생의 가치 - 매일경제'남을 이롭게 하는 것이 결국은 자신을 이롭게 한다(利他自利)'는 내가 좋아하는 사자성어다. 이는 내가 몸담고 있는 은행의 경영이념과도 맞닿아 있다. 옳은 생각을 가지고 착한 의도로 행한 일은 결국 상대방과 나에게 좋은 결과로 돌아온다. 지난 코로나 시기에 어려움을 겪던 고객들이 이를 극복하고 다시 성공했다는 소식을 들으면 당사자도 기쁘지만 그걸 지켜보는 ..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춘추] 중기 사장님들의 춘투매년 봄이 되면 각 노동조합은 공동투쟁을 통해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한다. 이를 춘투(춘계투쟁)라고 한다. 그러나 올해는 근로자들의 춘투가 있기 전에 사장님들이 모여 춘투를 하고 있다. 50인 미만 중소기업에 대한 중대재해처벌법의 유예를 호소하기 위해서다. 1966년 중소기업법이 만들어진 후 60여 년 동안 이렇게 많은 기업인이 모이는 것은 대한민국 역사상 ..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