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에게 열려있는 서울…‘메가시티 잠재력’ 도쿄보다 한수 위”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41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0%
  • Publisher: 51%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도시학자 에드워드 글레이저 인터뷰

“메가시티 성패의 열쇠는 뛰어난 인재, 유연한 기업, 그리고 이들을 잇는 연결성 세 가지다. 서울은 개방성이 매우 높은 도시기 때문에 아시아 국가 중 최고의 메가시티로 성장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글레이저 교수는 먼저 인적자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도시에 스타트업이 많다는 것은 창업정신이 잘 발휘되고 있다는 방증”이라며 “한국은 그동안 산업 챔피언들에 의해 주도되는 경향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글레이저 교수는 “대기업이 많다는 것은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다는 의미지만 일정 부분 한계가 있다”며 “서울에서 스타트업이 더 활발했더라면 강력해질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글레이저 교수는 메가시티 조성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인구 밀집과 부작용을 최소화하는게 정부의 가장 큰 과제라고 판단했다. 도시 규모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오히려 ‘적재 용량을 넘은 트럭’처럼 될 수 있다는 우려를 인식한 셈이다. 그는 “시대와 지역을 막론하고 거대 도시에서는 이동 문제와 전염병, 범죄율이 높게 나타났다”며 메가시티 조성도 이같은 부작용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샌프란시스코를 비롯한 미국 실리콘밸리 일대 초광역도시권은 세계에서도 성공한 메가시티로 인정받지만 이상적인 모델은 아니다”며 “지역권을 대표하는 경제산업군이 일정 분야에 너무 치우쳐 있고, 거주지역을 충분히 조성하지 못해 ‘적정주택’을 사람들에게 제공하지 못한 점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또 “앞으로 도심 내 자율주행차가 늘어나면 교통체증이 심해질 수 있다”며 혼잡통행료 제도를 강화해야 한다는 제안을 던지기도 했다. 그는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되면 사람들이 차량으로 이동하는 빈도가 높아져 교통체증이 심해질 수 있는데, 싱가폴처럼 혼잡통행료를 징수해 대중교통 이용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5.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서울 도시경쟁력 ‘세계 7위’…메가시티 만들면 더 오르려나日 민간단체 모리기념재단 분석 1위는 런던, 2위 미국, 3위 도쿄 상하이 10위에서 15위로 추락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포토] 한국정부는 환경정책도 일회용…플라스틱 감축 로드맵 짜야한국환경회의와 노동환경건강연구소는 9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문제 해결을 위...
출처: hanitweet - 🏆 12.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영록 전남지사 “지방 살리기 급한데 ‘김포 논쟁’ 소모적”김영록 전남지사가 최근 여당이 제기한 김포시 서울 편입 등 메가시티 논란에 비판적 입장을 밝혔다. 김 지사는 9일 입장문을...
출처: hanitweet - 🏆 12.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판커지는 ‘메가시티 서울’…與, ‘특위’ 발족 이어 특별법 ‘투트랙’국민의힘이 내년 총선을 5개월여 앞두고 ‘김포시 서울 편입’이라는 메가톤급 이슈를 띄우며 연일 바람몰이를 시도하고 있다. 5선의 조경태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가칭 ‘수도권 주민 편익 개선 특별위원회’를 만든 국민의힘은 특별법 발의, 특위 인선, 여론조사 등을 진행하며 정책 추진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총선에서 수도권은 핵심 승부처로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진부 경남도의회 의장 '도민 동의없는 메가부산 있을 수 없어'7일, 입장문을 통해 메가시티 관련 의견 밝혀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홍콩대, 싱가포르 대학 제치고 2위... 베이징대 1위, 서울대는?[英평가기관 QS 아시아대학 평가] 25개국 856개 기관·대학 평가 中대학이 TOP10 중 4곳 차지 연세대, 8위로 국내 대학 1위 고려대도 9위로 10위권 진입 카이스트 13위, 서울대 16위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