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원 문밖 ‘열여덟 어른’의 자립의지에 투자해주세요”

  • 📰 hanitweet
  • ⏱ Reading Time:
  • 25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3%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자립에 필요한 것은 ‘잘 살고자 하는 의지’인 것 같아요. 예전에는 이 의지가 개인의 역량에 달린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돌아보니 사회적 지원들이 제가 좌절하지 않게 힘이 돼줬어요.” -‘열여덟 어른’ 캠페이너 허진이씨

7년 전 막막했던 자립 이야기 ‘투자설명회’로 풀어내 18일 저녁 아름다운 재단에서 허진이 캠페이너가 온라인으로 진행한 ‘열여덟 어른 투자설명회’ 아름다운재단 제공 허진이씨는 2015년 3월 부산의 보육원 정문을 나왔다. 손꼽아 기다렸던 퇴소날이었지만 매달 1~2명씩 퇴소가 이루어지는 보육원에서는 새삼스러울 게 없는 일이다. “저 이제 가볼게요.” “그래 잘 지내.” 별다른 축하도 응원도 없이 19년 보육원 생활이 끝났다. 단출한 짐이 담긴 캐리어를 끌고 허진이씨는 서울행 열차에 올랐다. 이제는 밤 9시 취침시간도, 주말만 이용 가능한 스마트폰 사용 제한도, 일일이 보고해야 하는 외출 절차도 없다는 해방감이 느껴졌지만 미래를 오롯이 혼자 책임져야 한다는 압박감이 밀려왔다. 올해로 자립 7년 차가 된 허씨는 2018년 대학을 졸업했고 이듬해 결혼했다. 전공을 살려 사회복지사가 됐고, 지금은 아름다운재단에서 보호종료아동을 지원하는 ‘열여덟 어른’ 캠페이너로 활동 중이다.

나중에 자립정착금 500만원을 받아 300만원은 등록금으로 쓰고 200만원으로 빚을 갚았는데도 부족했다”고 말했다. 정부의 ‘자립수당 지급기간 확대’ 정책은 응답자 대다수가 ‘당사자의 입장이 잘 반영된 개선안’으로 꼽았다. 다만 응답자들은 경제적 지원 확대에만 그쳐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보육원을 막 벗어난 보호종료아동들은 억눌렸던 욕구를 해소하는 데 자립정착금 같은 큰돈을 쓰고 싶은 유혹에 빠지기 쉽기 때문이다. 이들은 경제적 지원이 실제 자립 정착을 위해 쓰일 수 있도록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허씨는 “보육원에서 월 3만원을 용돈으로 받아 생활했다. 그러다 퇴소 후 갑자기 500만원이 주어지자, 먹고 싶었던 것, 사고 싶었던 것에 있는 대로 다 썼다”고 털어놨다. 설문조사에 응답한 보호종료 당사자들은 ‘심리적 어려움’과 ‘직업 구하기의 막막함’도 꼽았다. 한 응답자는 “상처가 많은 사람이라 성인이 되고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하는데 남들이 모를 고충이 있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와호장룡’의 양자경과 ‘샹치’의 양자경이 붙는다면 [왓칭]“3만원(2인 영화티켓+팝콘) 내고 3시간 깨질 뻔했다. 집에서 OTT로 보기 잘했다. 네이버 관람객 평점은 7.43. 기자는 관객 점수가 후했다고 생각한다. 6점 정도 주겠다”
출처: Chosun - 🏆 22.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찐친 케미 제대로다'…예쁜 또라이 '술도녀'에 빠진 여심'술도녀'의 티빙 유료가입 기여도는무려 3585%까지 늘기도 했습니다.술도녀 술꾼도시여자들 티빙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대현의 마음속 세상 풍경] [81] ‘경제적 자유’는 ‘행복 중독’의 유사품조선일보only 필자가직접읽어주는육성칼럼 오디오콘텐츠 이젠듣자 오디오조선일보
출처: Chosun - 🏆 22.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신변보호 여성 '스토킹 살인범'은 35세 김병찬경찰이 신변보호를 받던 여성을 스토킹해 살해한 피의자 김병찬(35)의 신상을 공개했다. 서울경찰청... 우리나라는 법이 너무 관대해서 유사범죄가 너무 많이 발생함 사형구형이 정답! 대체 강력 범죄, 뇌물, 사기 등 가해자들의 신원을 왜 공개하지 않는가? 가해자들도 인권이 있다고? 가해자들의 인권보다 피해자들의 억울한 피해가 더 중요한고, 누가 가해자인지 국민들이 알아야 스스로 조심할 것 아닌가. 가해자들의 인권만 소중히 챙기는건 피해자들의 억울함을 더 가중시키는 것. 법은엄중함으로 처벌해야한다. 사형선고 가되어야한다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스크린에 되살아난 김동리 ‘무녀도’…한국적 색채 녹아든 독특한 애니메이션김동리의 소설 무녀도가 애니메이션으로 살아났다. 한국 단편문학을 스크린으로 옮기는 ‘단편문학 프로젝트’의 안재훈 감독이 다섯 번째로 작업한 작품이다.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어서와 글로벌은 처음이지' 와우 소리 나오는 라인 WOW I #팩플괜히 ‘네카라쿠배’의 센터로 불리는 게 아닙니다.※중앙일보 회원만 볼 수 있는 기사입니다. 로그인하고 '꿀정보' 받아 가세요.라인 팩플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