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장기화’ 공포에 빠진 금융시장…파월 “고물가 여전”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31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6%
  • Publisher: 51%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미 국채금리 상승세 ‘심리적 저항선’ 넘어, 전 세계 경제 파동 전망연준 “물가상승 낮추려면...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19일 뉴욕에서 열린 뉴욕경제클럽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19일 장중 연 5.001%까지 높아진 뒤 4.9898%에 마감했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5% 선 위로 올라선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7월 이후 16년 만이다.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 세계 장기금리의 기준점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금리가 상승하면 가계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올라가고 신용도가 낮은 회사채 금리가 높아지면서 기업의 자금조달 비용도 늘어난다. 일각에서는 지난 3월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이후 가라앉았던 미 은행권 리스크가 다시 수면 위로 부상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채권 금리가 높다는 것은 채권 가격이 하락했다는 뜻인데, 새로 발행되는 채권의 값이 싸지면서 은행들이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는 미 국채 수요는 갈수록 줄고 이에 따라 은행권의 미실현 손실이 불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금리를 올리면 경기가 냉각되고 물가도 떨어져야 한다. 하지만 미국 경제가 예상보다 강하고 물가도 아직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금리를 더 높이지는 않더라도, 현재의 높은 금리 수준을 더 오래 끌고 가야 하는 상황인 것이다. 지난달 미국의 소매판매는 전망치를 웃돌았고, 산업생산 및 비농업 일자리도 견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전세계 시장 ‘고금리 장기화’ 패닉···파월 “물가 여전히 높아”전세계 금융시장이 미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금리 장기화’ 공포에 빠졌다. 그동...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국채 10년물 금리 4.9% 돌파…지정학적 불안 고조에 국제유가는 전쟁 후 최고치고금리 장기화 우려에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2007년 후 처음으로 4.9%를 넘었다. 중동의 지...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금리·전쟁' 혼돈의 금융시장…큰손의 대체투자 비법 듣는다글로벌 대체투자 콘퍼런스내달 7일 포시즌스호텔서블랙록·맥쿼리·블랙스톤…국내외 투자 전문가 한자리에스태브리디스 칼라일 부회장, 중동 전쟁 속 투자 전략 모색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은 “물가 예상보다 더디게 떨어질 것”···한국도 ‘고금리 장기화’ 수순한국은행이 이번에도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6회 연속이다. 하지만 국제유가 상승 등으로 물가상승...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물가 더디게 떨어져 긴축 지속”…한은의 ‘고금리 장기화’ 경고전쟁 불확실성 6연속 ‘동결’“다시 1%대 금리? 기대 마라”‘빚투족’에겐 거듭 주의 당부 한국...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파월 '그대로 움직이게 둬야'…美국채 금리, 16년 만에 5% 돌파최근 미국 경기지표가 호조를 보이면서 고금리 장기화 전망에 힘이 실린 가운데,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국채금리 급등세를 사실상 용인하는 취지의 언급을 내놓으면서다. 파월 의장은 '(국채금리 급등 요인이) 인플레이션 상승 기대나 단기적인 통화정책 조치 때문은 아닐 것'이라며 '장기채권 보유에 대한 보상인 기간 프리미엄 상승에 주로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미국 대형 투자자문사 에버코어ISI의 크리슈나 구하 글로벌 정책·중앙은행 전략팀 헤드는 '파월 의장이 국채 금리 상승을 용인하려고 의도한 것은 아닐 것'이라면서도 '이런 발언은 장기금리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