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월간 요금 0원?…몰라서 못쓰는 알뜰폰 | 중앙일보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64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9%
  • Publisher: 53%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파격 요금제의 비결은 통신 3사가 알뜰폰 사업자들에 지급하는 보조금에 있습니다.\r알뜰폰 통신사 요금

당신만 몰랐던 알뜰폰의 비밀 “알뜰폰요? 효도폰 아닌가요” “서비스가 후질 것 같다”. 이처럼 천대받던 알뜰폰이 2012년 첫 출시 후 11년 만에 전성시대를 맞았다. 알뜰폰의 정식 명칭은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망사업자의 망을 빌린 사업자가 자체 브랜드로 판매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다. 지난 4월 한 달간 알뜰폰 요금제로 바꾼 가입자는 무려 9만6795명. 서비스 출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이통사의 월 6만9000원 LTE 요금제와 같은 망을 쓰는 알뜰폰 요금제를 비교해 봤다. 같은 조건인데 알뜰폰 요금은 처음 7개월간 월 1만1100원, 8개월부터 월 4만4100원이다. 24개월간 월 데이터 150GB도 추가로 준다. 알뜰폰 가입 1년이면 52만9800원을 버는 셈.

세종텔레콤의 알뜰폰 서비스 ‘스노우맨’은 지난달 신규 가입이나 번호 이동 고객을 대상으로 ‘0원 요금제’를 선보였다. 7개월간 기본 데이터에 150GB를 추가하고 소진 시 매일 2GB씩, 매달 총 221GB를 0원에 그냥 준다. 선착순 1000명 가입 신청에 홈페이지가 마비될 만큼 화제가 됐다. 이런 0원 요금제는 지난 8일 기준 총 35종이나 된다.파격 요금제의 비결은 통신 3사가 알뜰폰 사업자들에 지급하는 보조금에 있다. 중소 알뜰폰업체 대표 A씨는 “알뜰폰 가입 1건마다 통신사가 약 20만원의 보조금을 준다”며 “요즘은 통신사도 최대한 많은 사업자에게 망을 대여해 알뜰폰 시장에서 영향력을 높이길 원한다”고 말했다.

알뜰폰은 0원 요금 등 7개월 할인가격을 쓴 뒤 다른 요금제로 갈아탈 수 있어 신규 가입자 혜택만 찾아다니는 ‘체리피커’도 늘고 있다. 직장인 서모씨가 쓰는 갤럭시노트10에는 벌써 네 번째 알뜰폰 유심칩이 꽂혀 있다. 그는 매달 유튜버의 ‘이달의 알뜰폰 요금제’ 소개 영상을 챙겨본 뒤 프로모션 기간이 끝나면 다른 알뜰폰 요금제로 갈아타고 있다. 서씨는 “프로모션이 끝나면 요금이 1.5~2배가 되는데, 약정이 없으니 7~8개월마다 갈아타면 된다”고 했다.실제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에 따르면 지난달 총 24만7428명이 알뜰폰으로 번호이동을 했다. 이 중 알뜰폰→알뜰폰 이동이 60.9%로 통신 3사→알뜰폰 이동보다 더 많았다. 이처럼 저렴한 알뜰폰 프로모션을 찾아 옮겨다니는 환승족은 지난해보다 2.5배나 늘었다.

알뜰폰이 비상하기 시작한 건 3년 전인 2020년부터다. 중소 알뜰폰 업체들로선 통신 3사의 강력한 오프라인 유통망은 ‘넘사벽’이었다. 그런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비대면 온라인 가입이 확산하면서 실속파 MZ세대 눈에 알뜰폰이 들어왔다. 특히 아이폰 인기가 치솟으며 알뜰폰 시장엔 호재로 작용했다. 아이폰을 자급제폰으로 사고, 요금제는 알뜰폰을 쓰는 ‘꿀조합’이 퍼진 것. 알뜰폰이 싼 만큼 통화·데이터 서비스는 나쁠 것이란 생각은 잘못된 편견이다. 통신 3사 망을 빌려 쓰기 때문에 품질은 같다. 요금이 싼 건 기지국 등 설비투자 지출이 없었고 오프라인 대리점을 운영하지 않아 유통 비용도 덜 쓰기 때문이다.팩플 오리지널 ‘팩플 오리지널’은 국내외 혁신기업들의 전략과 이들 기업이 우리 삶에 미칠 영향을 따져보는 ‘미래검증 보고서’입니다. 테크놀로지의 발전을 제대로 알고 대비하고 싶은 분, 미래의 비지니스를 내다보는 데 필요한 인사이트를 원하는 분들께 권합니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내일부터 전기·가스요금 오른다…4인가구 월 7400원 ↑ | 중앙일보16일부터 새 요금 체계가 적용되고, 이미 지나간 4~5월 사용분에 소급되진 않습니다.\r전기요금 가스요금 인상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에어컨 1등급 같은데…옆집보다 전기료 4000원 더 나온 이유 | 중앙일보전기료를 아끼려면 '이것'까지 꼼꼼하게 체크해야 합니다.\r에어컨 전기료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라떼 4500원, 도난방지기 설치…주민 위한다는 평산책방 가보니 | 중앙일보문 전 대통령 반려견 이름을 딴 '토리라떼'는 6800원입니다.\r평산책방 문재인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기료 ㎾h당 8원 인상...가스요금 합쳐 가구당 월 7400원 오른다전기요금이 월 3000원 오른다. 가스요금까지 합쳐 에너지 요금 인상분은 월 7400원에 이를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은 15일 2분기(4~6월) 전기요금을 kWh당 8원 올린다고 밝혔다.
출처: Chosun - 🏆 22.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전기·가스요금 5.3% 오른다…내일부터 적용4인 가구 기준, 전기요금은 약 3000원(332kWh 사용 기준), 가스요금은 4400원(3861 MJ) 정도를 더 부담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hanitweet - 🏆 12.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기료 8원·가스료 1.04원 인상...4인 가구 약 7,400원 더 부담취약계층 1년 유예·소상공인 분할납부 등 부담 완화/연내 추가인상 가능성엔 “종합적 검토해 판단”
출처: newsvop - 🏆 6. / 6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