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재집권 가능성 커져…‘윤석열식 외교’ 용도폐기 위기

  • 📰 hanitweet
  • ⏱ Reading Time:
  • 22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2%
  • Publisher: 53%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바이든에 10%p 차 앞선 가상대결 조사까지미국의 중국·러시아 정책 근본부터 바뀔 수도최악 경우 북-미 양쪽서 외면당하는 초유 상황

최악 경우 북-미 양쪽서 외면당하는 초유 상황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5일 워싱턴에서 열린 행사에서 연설하고 있다. 워싱턴/AP 연합뉴스 “미국의 전 대통령이 내년 선거에서 이길 가능성이 커지며 전세계 수도들이 안절부절못하고 있다.” “외국 지도자들은 트럼프의 두번째 임기는 첫번째보다 극단적이고 혼란스러울 것이라고 본다.” 2024년 11월 치러지는 미국 대선에서 재집권을 노리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상승세가 갈수록 심상찮은 모습을 보이면서 한국 등 미국의 동맹들을 깊은 시름에 빠뜨리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워싱턴포스트와 에이비시 방송이 10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24일 발표한 대선 가상 대결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을 52% 대 42%로 앞섰다. 8월 이후 나온 다른 가상 대결 결과를 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2%포인트 안에서 엎치락뒤치락했는데 이번엔 오차 범위를 크게 뛰어넘어 10%포인트 차이로 앞섰다.

윤석열 정부는 집권 이후 미국의 이런 기조에 적극 호응하면서 집권 초부터 대북 강경 정책을 펼치고, 3월엔 민감한 역사 현안에 일방적 양보안을 내놓으면서 한-일 관계를 개선했으며 8월엔 캠프데이비드 정상회의를 통해 한·미·일 3각 동맹으로 가는 첫발을 내디뎠다. 하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귀환하면, 이 모든 정책이 가능했던 기본 전제들이 허무하게 무너질 수 있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 역시 급변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한국에 대한 압박 강화가 예상된다. 재임 중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 5배 인상을 요구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또 대폭 인상을 주장할 게 확실시된다. 재집권에 성공한다면 임기 첫해인 2025년 진행될 것으로 보이는 방위비 협상이 한국에는 험난한 고비가 될 수밖에 없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윤 대통령 '몸 던져야'... 부산엑스포 유치에 자신감국무회의에서 뉴욕 순방 자평 "'자유와 연대' 외교에 신뢰·기대 커져"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침햇발] ‘윤석열 외교’ 앞에 선 ‘진보 외교’의 경쟁력박민희ㅣ논설위원 윤석열 대통령이 ‘외교 대통령’ 이미지 만들기에 공을 들이고 있다. 한-일 ‘과거사’를 지우면서 한-일 관계...
출처: hanitweet - 🏆 12.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00년 만에 다시 문 여는 대한제국 영빈관…덕수궁 돈덕전 내일 개관대한제국의 영빈관 등 외교 공간으로 활용된 덕수궁 돈덕전이 100년 만에 재건돼 26일부터 일반...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연락두절 사각지대 1440명…주민등록-실거주지 불일치주민등록 주소지와 실제 거주지가 달라 사각지대에 처했을 위험성이 큰 복지 위기 인원이 14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hanitweet - 🏆 12.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시평] 국제지속가능성기준, 가볍게 봐선 안 된다세계 단일기준 멀지 않아탄소중립·녹색기회 위해美는 민간자본 동원 선언대세 못읽으면 위기 직면민관ESG정책協 서둘러야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