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인 이상 집합 금지, 코로나19 확진자 증가 꺾었다

  • 📰 hanitweet
  • ⏱ Reading Time:
  • 18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0%
  • Publisher: 53%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서울시가 정부 방역정책에 따라 지난해 12월23일 ‘5인 이상 집합금지’ 조처 이후 인구 이동량이 크게 줄어들면서 확진자 수를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해 연말 3차 대유행 때는 방역정책 강화 전에 인구 이동량이 줄어드는 등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가 돋보였다.

유행 거듭될수록 시민 반응 더뎌져 정부는 코로나19 환자 증가세를 꺾기 위해 수도권에만 적용했던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를 지난 1월 4일부터 전국으로 확대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시 한 특급호텔 라운지 모습. 연합뉴스 서울시가 정부 방역정책에 따라 지난해 12월23일 ‘5인 이상 집합금지’ 조처를 한 이후 인구 이동량이 크게 줄어들면서 확진자 수를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해 연말 3차 대유행 때는 정부 방역정책 강화 전에 인구 이동량이 줄어드는 등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가 돋보였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7일 케이티가 공개한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통신 데이터분석 결과’를 보면, 5인 이상 집합금지 조처가 코로나19 확산세를 꺾는데 효과를 발휘했다. 지난해 12월19일 이후 증가하던 서울시 인구 이동량이 같은달 23일 5인 이상 집합금지 발효 뒤부터 성탄절 연휴 시작에도 급격한 감소세로 꺾였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지난해 코로나19 3차 대유행 시기를 따로 분석한 결과에선 1차·2차 유행 때와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 1·2차 유행 때는 확진자 증가에 따른 이동 인구 감소가 즉각적으로 나타났으나 3차 때는 이동 인구 감소 현상이 다소 더뎠다. 시민들의 반응 속도가 느려진 셈이다. “장기간 진행된 방역 조치에 따라 시민들의 피로도가 커지고, 코로나19에 대한 학습효과가 생긴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케이티 쪽은 풀이됐다. 이번 분석에선 중구와 종로구 등 다른 구로부터 인구 유입이 많은 지역구의 확진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사실도 드러났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게 모두 국민들의 희생인데 합당한 보답은 커녕 은행 돈줄로 만들고 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