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에 지쳐 산으로, 친구 만나러 줌으로 향하는 밀레니얼들

  • 📰 hanitweet
  • ⏱ Reading Time:
  • 26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4%
  • Publisher: 53%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재택근무에 지친 청년들, 운동하고 싶지만 적절한 공간을 찾지 못한 이들, 답답함에 지친 외향인들 모두 이젠 산으로 향한다.

얘기꽃 피우다 날도 해도 저물어 산으로 향한다. “점심 뭐 먹어. 어디야?” 당연히 집이겠거니 하고 던진 문자였다. 하지만 집에 있겠거니 했던 친구는 영 생뚱맞은 응답을 보내왔다. “아, 나 지금 산이야.” “무슨 소리야. 회사 그만뒀니?” 진위 여부를 의심하는 나에게 그는 산 정상의 멋진 풍경이 담긴 파노라마 사진을 보내왔다. 엇, 진짜잖아? 집에 있으려니 너무 답답하고 힘들어서 점심시간을 이용해 뒷산으로 산책을 다녀왔단다. 재택근무의 답답함에 진저리치다 했던 선택이었는데, 산의 재미에 푹 빠지게 됐단 말도 덧붙였다. 유일한 해방 공간, 뒷산 공감한다. 재택근무는 지겹다. 물론 돈을 버는 모든 일은 어느 정도의 지겨움과 싸우는 걸 기본값으로 가지고 있다지만, 홀로 방 안에 꼼짝없이 앉아 8시간 근무를 해내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어쩔 수 없이 산에 간다’는 건 모든 이들에게 적용되는 말은 아닐지라도 적어도 일부에게는 신체 건강뿐 아니라 정신 건강과 딱 맞붙어 있는 명제다. 산은 열려 있는 몇 안 되는 너른 공간이다. 공공체육시설도, 일반체육시설도 문을 닫은 상황에서 산으로 향하는 젊은이들이 많아진 까닭이다. 게임도 건배도 랜으로…밤새우는 줌년회 줌으로 모인다. “그땐 그랬지, 참 좋았지.” 추억하는 말은 잔뜩이지만 기억할 거리는 부족했던 송년회는 옛말이다. “그땐 이랬지. 참 좋았네.” 추억의 자료를 직접 꺼내놓고 기억을 더듬을 수 있는 것이 요즘의 랜선 송년회의 특성이다. 현장 녹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4시간이든 5시간이든, 녹화 버튼 하나만 누르면 누가 무슨 얘기를 했고 뭘 먹으면서 놀았는지 죄다 기록이 가능해졌다. 다름 아닌 ‘줌년회’ 얘기다.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한창인데다 5인 이상 모임이 금지된 요즘, ‘줌년회’가 아니면 사람 얼굴 구경하기도 힘든 시대가 됐다. 다들 줌에 푹 빠졌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