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수록 시선을 회피한다…이유가 뭘까?

  • 📰 hanitweet
  • ⏱ Reading Time:
  • 26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4%
  • Publisher: 53%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나이가 들수록 다른 사람의 얼굴을 덜 살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은 '말하는 동안 상대방의 얼굴에서 시선을 떼는 것은 대화를 이어가는 것이 어렵다는 걸 스스로 알고 있다는 걸 뜻한다'고 설명했다.

들을 때보다 말할 때 시선회피 시간 더 많아 나이가 들수록 상대방의 얼굴을 덜 쳐다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픽사베이 사회적 동물로서의 인간은 일생에 걸쳐 다른 사람과 다양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간다. 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잘 하려면 다른 사람의 의도나 감정 등을 신속하게 파악해야 한다.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편이 상대방의 얼굴을 살피는 것이다. 사람의 얼굴 표정에는 그 사람의 감정 상태가 반영돼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나이가 들수록 다른 사람의 얼굴을 덜 살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인간행동' 5월13일치에 발표된 영국 켄트대와 맨체스터대 심리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이 가장 활발한 젊은 시절에 사회적 정보, 즉 다른 사람의 얼굴에 가장 많은 관심을 보이며, 이후 나이가 들어가면서 그 정도가 약해진다. 연구진은 청소년, 청년, 노년의 세 연령대에 해당하는 268명의 실험 참가자를 모집했다.

연령대별 차이가 확연했다. 청년층보다 청소년과 노인들이 상대적으로 대화 상대의 얼굴을 바라보는 시간이 적었다. 포스터를 보는 시간도 이들이 청년층보다 많았다. 이는 인지 발달기 및 쇠퇴기에는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걸 시사한다고 연구진은 분석했다. 퍼거슨 교수는"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성공하려면 상대방의 말에 관심이 있는 것처럼 보여야 하고, 그에 맞는 신호를 모두 보여줘야 한다”며 “이 모든 것은 정말로 많은 노력이 필요한 일”이라고 말했다. _______환경 탐색시 사람한테 쏟는 시간은 5% 두번째 실험은 환경 탐색 실험이었다. 연구진은 실험 참가자들에게 켄트대 지도를 주고, 대학 안내 데스크에서 대학 홍보물을 받아 실험실로 가져오도록 했다. 어떤 길을 통해서 오든 참가자들은 볼 거리가 늘어서 있는 복도를 통과해야 했다. 연구진은 참가자들이 오는 도중에 다른 사람, 사물 또는 지도를 얼마나 자주 보았는지 관찰했다. 여기서도 다소 놀라운 사실이 드러났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