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왕따로 전락한 한국 증시, 앞으로가 더 두렵다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72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2%
  • Publisher: 51%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진단] 졸속 대책 남발에 무너진 시장 신뢰, 성장률 하락에 허약한 경제 체질도 한몫

최근 정부는 증시 부양을 위해 공매도 금지는 물론, 주식양도세의 대주주 기준을 종목당 10억 원에서 50억 원으로 상향했고, 심지어는 여야가 합의해 유예한 금융투자소득세마저 폐지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런데도 증시는 맥을 못춘다. 반면 정부가 거의 아무 일도 하지 않은 미국과 일본 증시는 연일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는 등 바람을 타고 나는 형국이다. 미·일 증시는 나는데 한국 증시만 기는 이유를 알아보자.2008년 금융위기 이후 장기간에 걸친 저금리 환경이 지속되면서 세계 증시는 유례없는 글로벌 유동성 장세에 진입하게 된다. 먼저 증시 버블의 바로미터인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자산이 얼마나 늘어났는지 살펴보자.

이번에는 한국의 홍길동이 지난 15년간 코스피 지수에 장기투자했다면 약 49%의 자본이익을 거뒀을 것이다. 물론 올해 단타로 큰 손실이 발생한 개인투자자와 비교하면 이 정도 수익을 낸 것도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홍길동이 3%짜리 은행 정기예금 상품에 15년 동안 투자했다면 약 56%에 달하는 무위험 수익을 올렸을 것이다. 즉, 국내 주식시장의 수익력이 은행 예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게 작금의 현실이다.안 그래도 한국 증시는 수익 실현이 약한데 저성장 충격으로 경제의 기초 체력이 소진되는 가운데 본질과 괴리된 졸속 대책으로 시장 질서를 교란하다 보니 증시 사정은 더 안 좋다.

구체적으로 무차입 공매도 방지를 위한 전산화, 기한의 정함이 없는 상환 기간, 시장 조성자와 유동성 공급자의 공매도 장사 등 관치에 뿌리내린 친자본·친기업 편향부터 바로 잡았어야 했다. 이러한 선행 조치들을 뒤에 남겨 두고 성급하게 공매도를 금지한 것은 답부터 먼저 쓰고 문제를 푸는 격이나 다름없다. 그 많은 세월 뭐 하고 있다가 갑자기 나타나 공매도 사태를 일으킨 것인지 도저히 이해하기 어렵다.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도 떠나고 내국인도 떠나는 형국이다. 한국 경제는 2020년에 사상 처음으로 G10 국가에 진입한 이후 성장의 연비가 떨어지면서 2022년에는 13위까지 밀려난 상태다. 2023년에도 14위인 호주가 턱밑까지 쫓아와 더 밀려날 가능성도 있는 상황이다. 더욱 충격적인 사실은"1%대 저성장 충격"이 현실화 했다는 점이다. 한국 경제가 1960년 이후 지난 60여 년 동안 성장률이 1%대 이하로 떨어진 사례는 다섯 차례뿐이다. 이 중에서도 4차례의 경제위기를 제외하면 1%대 성장은 2023년이 유일한데, 사실상 금융위기에 준하는 비상 경제 상황임을 보여주는 대목이다.설상가상으로 성장률 하강 추세가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 성장률은 2021년 4.3% 반등 이후 2022년 2.6%, 2023년 1.4%로 하락하며 추세 전환에 실패했다. 글로벌 복합위기로 인해 다른 나라들도 사정이 마찬가지라고 강변하지만 이는 전혀 사실과 다르다.

어느 나라든 주식 시장은 경제지표 레벨을 가늠하는 기반이 되고, 기업의 실적이 성장 추세를 결정하는 동력으로 작용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점에서 국내 증시는 저성장 충격의 직격탄을 맞아 물가상승 정도도 반영하지 못하는 시장으로 전락했다. 정부가 증시 부양을 위해 아무리 이런저런 세금을 만지작거려도 백약이 무효인 이유다.외인 자본은 국내 증시를 견인하는 동력인 동시에 성장을 가로막는 구조적 리스크다. 우리 주식시장은 외인 자본에 대한 의존도가 과도하게 높아 자본 유출로 인한 증시 폭락, 환율 상승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국내 증시는 외국인 투자 비중이 30~40%를 유지할 정도로 높은데, 점유율로만 보면 신흥국 증시 중에서도 단연 최고 수준이다.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6.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김정은의 투코리아 발언, 대북 강경 정책에 대한 불만 표시'[이영광의 거침없이 묻는 인터뷰] 왕선택 한평정책연구소 글로벌 외교센터장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논설위원의 단도직입] “미군정, 선별한 우익에 벼락권력 불하…한국 민의와 어긋났다”“한국 현대사 자료를 찾아 세계를 횡단하며 새로운 자료에 기초해 새로운 이야기를 쓰는 데 긍...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경율에 감사패라도 줘라' 조중동 대동단결'디올 핸드백 한국 뒤흔들었다' 타임, WSJ 보도....수도권 출마 국힘 의원 한동훈에게 몰린다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양국 우호? 일본 언론보다 못한 외교부... 이것이 윤 정부의 현실[김종성의 히,스토리] 일본 군마현 조선인 추도비가 철거당하는데도 무관심한 한국 정부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예금이자 연 100%인데도 죽을판...한 달만에 물가 3배 뛴 이 나라[★★글로벌]작년 아르헨티나 물가 33년만에 최고 ‘전기톱 긴축’ 선언한 밀레이 대통령 물가통제 폐기·페소화 50% 평가절하 취임 한 달 만에 눌러놨던 물가 급등세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구글 다니다 정리해고...그런데 즐거운 이유! (인터뷰)■ 방송 : JTBC 유튜브 라이브 〈뉴스들어가혁〉 (평일 오전 8시 JTBC News 유튜브) ■ 진행 : 이가혁 기자 / 대담 : 로이스김 작가(전 구글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디렉터) ■ 자세한 내용은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습
출처: JTBC_news - 🏆 3. / 6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