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지도 17년' 안동립 '하와이보다 아름답다…방파제 놓자'

  • 📰 yonhaptweet
  • ⏱ Reading Time:
  • 26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4%
  • Publisher: 51%

대한민국 헤드 라인 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부천=연합뉴스) 이세원 기자='독도의 아름다움을 국민에게 (충분히) 알리지 않은 것이 안타까워서 이런 일을 했습니다.'

이세원 기자=안동립 동아지도 대표가 10일 경기 부천시 소재 사무실에서 연합뉴스와 인터뷰를 하며 독도 동도와 서도 사이에 있는 삼형제굴바위와 촛대바위 사진을 들고 있다. 안 대표 우측에는 그가 절경으로 꼽은 서도의 석양 풍경이 사진에 담겨 있다. 2023.8.152005년부터 17년에 걸쳐 직접 촬영한 독도 사진과 연구 자료를 묶어 최근 단행본 '독도 KOREA'를 펴낸 안동립 동아지도 대표는 78주년 광복절을 앞두고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발간 취지를 언급했다.[안동립 동아지도 대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독도는 거친 파도와 취약한 접안 시설로 인해 상륙할 수 있는 날이 적다. '3대가 덕을 쌓아야 상륙할 수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그는 동도와 서도 사이의 남서쪽 해역을 가리키면서"여기에 방파제를 놓으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안 대표는 지도 제작업에 종사한 선배 등의 도움을 받아 자료를 모아봤는데 독도와 부속 섬의 모양이 제각각인 것을 보고 제대로 된 독도 지도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안 대표는 이런 관행을 깨고 2005년 5월 독도와 부속 섬을 크게 그린 지도를 발행했다.이후에도 지형도, 식생지도, 암각서 위치도, 독도 동굴 현황도, 독도 산사태 지점 현황도 등 약 20종의 지도를 만들었다.안 대표는 독도 서도에 있는 가장 높은 봉우리에 '대한봉'이라는 이름을 붙이기도 했다. 나중에 정부의 인증을 받아 공식 지명이 됐다.안동립 대표가 발행한 독도 지도독도를 방문하려면 체류 기간 필요한 물과 식량을 모두 가져가야 한다. 짐이 많아지기 때문에 통상 3박4일 여정이지만, 파도로 인해 유람선이 접안하지 못해 14일간 독도에 발이 묶인 적도 있었다고 한다."제일 무서운 건 깔따구예요. 너무 작아서 눈에 보이지 않고 소리가 안 나서 언제 물렸는지 몰라요.

 

귀하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귀하의 의견은 검토 후 게시됩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 17.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잊을만하면 반복되는 '묻지마 칼부림' 史2002년 '광진구 어린이선교원 흉기난동' 부터 2023년 '서현역 칼부림' 까지…'묻지마범죄' 참사는 반복됐다.
출처: nocutnews - 🏆 18.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효주, AIG오픈 3R 1타차 공동 3위…부·헐, 공동 선두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권훈 기자=김효주가 9년 만에 메이저대회 우승 트로피를 보탤 기회를 잡았다.
출처: yonhaptweet - 🏆 17.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상반기 서울 아파트 증여 비중 3년 반 만에 최저…“취득세 부담·거래 회복”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 거래시장에서 증여 비중이 한 자릿수로 떨어지며 3년 반 만에 최저를 기록했습니...
출처: KBSnews - 🏆 21.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전 엑스포' '성화 꺼진 아시안게임'... 국제대회 망신사총체적 부실을 드러낸 잼버리 대회를 계기로 과거 논란이 됐던 국제대회 역사를 살폈다.
출처: hankookilbo - 🏆 9. / 59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상반기 관광수지 46억달러 적자…'큰손' 유커 복귀로 개선되나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올해 상반기 관광수지 적자가 5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yonhaptweet - 🏆 17.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오매불망 ‘4기 신도시’ 기다리는 그린벨트 땅주인들1971년 처음 도입된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제도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대표적인 치적사업으로 꼽힌다. 알려진 대로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을 막고, 도시의 허파가 돼줄 녹지를 확보할 목적으로 도입됐다. 다른 목적도 있었다. “우량농지의 확보와 안보상의 이유”다.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