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5월, 〈시사IN〉과 만난 자리에서 김경수 당시 경남도지사는 한 ‘바버숍(남성 전용 미용실)’ 디자이너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창원에서 자란 이 청년 디자이너는 진로 고민 과정에서 양자택일을 해야 했다. ‘서울이냐, 부산이냐.’ 관련 기술을 익히려면 둘 중 한 곳에서 학원에 다녀야 했다. 문제는 어딜 선택하든 ‘자취’를 피하기 어렵다는 것이었다. 창원에서 미용학원이 몰려 있는 부산 서면은 35㎞ 떨어져 있다. 수도권으로 따지면 서울 강남역에서 경기도 화성 동탄역까지의 거리다. 같은 직선거리라도, 수도권이냐 아니냐에 따라 통근 가능 여부가 갈린다. 동탄신도시에 사는 사람은 대중교통으로 1시간10분이면 강남역을 오갈 수 있다. 그러나 창원 중심가에서 대중교통으로 부산 서면에 가려면 편도 2시간30분이 걸린다. 환승만 세 번 해야 하는 강행군이다. 이쯤 되면 당사자인 청년은 고심한다. ‘학원 통학은 불가능하다.
최근까지도 오 시장은 공개적인 자리에서 “(서울추모공원 추진) 당시 ‘오세훈 너부터 태워주마’라는 플래카드가 걸렸다”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 화장시설은 지금도 확장 문제를 두고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2022년 오미크론 확산 당시 ‘화장시설 대란’을 겪었다. 향후 고령인구 급증으로 화장 수요가 늘 경우 시설 증설 또는 신설 문제가 반복될 수 있다. 자원회수시설은 현재 오세훈 시장이 직면한 가장 민감한 이슈다. 지난 8월 서울시는 마포구 상암동에 소각시설을 짓기로 했다. 2026년부터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불가능해지면서, 이후 서울 지역 생활폐기물을 소각하는 장소로 이곳을 선정한 것이다. 그러나 마포구 일대 주민들이 ‘졸속 선정’이라며 반발하고 있어서 실제 운영이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이 같은 개별 도시 핵심 시설들은 각각 정치적 리스크가 된다. 밀도 높은 지역을 피해 이 같은 시설물을 지으려면 결국 서울 외곽 경기도-인천시와 ‘시설 외주’를 두고 협상해야 한다.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출처: OhmyNews_Korea - 🏆 16.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출처: hanitweet - 🏆 12.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