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 논의 너무 더뎌" 질타 정부의 국민연금 개혁안이 이달 중 발표되는 가운데 국민연금공단에 대한 국회 국정감사에서는 지지부진한 연금 개혁을 놓고 여야 의원들의 지적이 이어졌다. 특히 정부 개혁안의 밑그림인 보건복지부 산하 국민연금 재정계산위원회의 최종 보고서에 '받는 돈'인 소득대체율을 인상하는 안이 포함된 24개 시나리오가 담기면서 개혁 동력을 잃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국민연금공단과 한국사회보장정보원에 대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서정숙 국민의힘 의원은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에게"모호하게 민감한 이슈는 피하고 예상 시나리오를 나열하는 정도의 계획만 작성해서 책임만 회피하는 그런 공단 이사장이 되지 않기를 꼭 바란다"고 꼬집기도 했다. 역대 정부의 연금 개혁 '실기'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서정숙 의원은"2013년 3차 재정계산 때는 연금이 2060년에 소진된다고 했고 2018년엔 2057년, 올해 3월에 발표한 추계로는 2055년으로 더 앞당겨진 엄혹한 현실"이라며"당시 정부들은 아무 대책 없이 연금 개혁에 손 놓고 있었다"고 했다. 재정계산위가 전날 복지부에 제출한 연금 개혁 최종 보고서에는 소득대체율을 높이는 6가지 시나리오를 포함해 총 24개의 시나리오가 담겼다. 정춘숙 민주당 의원이 복지부에서 제출받은 보고서에는 보험료율을 현행 9%에서 12%, 15%로 상향한다는 가정 아래 소득대체율을 현행 40%(2028년 기준)에서 45%, 50%로 높일 경우 연금 수지 적자 시점과 고갈 시점 등 재정 전망이 포함됐다. 앞서 지난달 재정계산위는 소득대체율 인상안을 빼고 보험료율 인상, 연금 수급 연령 상향, 기금운용수익률 상향 등 변수를 조합해 18개 시나리오를 내놓은 바 있다. 이에 소득 보장 강화 방안이 빠졌다는 비판이 이어지자 보고서를 수정한 것이다.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출처: maekyungsns - 🏆 15.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출처: kyunghyang - 🏆 14. / 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출처: YTN24 - 🏆 2. / 6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출처: joongangilbo - 🏆 11. / 5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출처: YTN24 - 🏆 2. / 6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출처: YTN24 - 🏆 2. / 6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